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 60년새 19배 증가했다
SBS Biz 송태희
입력2024.10.22 07:36
수정2024.10.22 07:39
[2024년 8월 12일(현지시간) 그리스 아테네의 아크폴리스 언덕 위의 파르테논 신전이 대형 산불로 인한 연기에 휩싸여 있다. (AFP=연합뉴스)]
전 세계 화재 연기 관련 사망자 중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1960년대와 2010년대 사이 19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남미·호주·유럽·아시아의 아한대 지역 피해가 많이 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박채연 박사가 이끄는 한국·일본 등 국제 연구팀은 22일 과학 저널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서 화재-식생 모델(fire-vegetation model)을 사용해 1960년대~2010년대 화재로 인한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과 사망률 관계를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산불 연기와 그 속에 포함된 크기 2.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1m)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건강에 큰 위협이 되며, 특히 기후변화는 열대우림 외 지역 산림의 산불 위험을 높임으로써 산불로 인한 유해 물질 배출량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팀은 적극적 화재 관리와 진압으로 수십년간 전체 화재 건수가 감소했지만,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화재 발생은 그 기간과 지역이 늘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따른 화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세계적으로 정량화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화학물질 이동 모델 및 건강 위험 평가 도구와 화재-식생 모델을 사용해 1960년부터 2019년까지 전 세계에서 발생한 화재 연기로 인한 전체 사망의 원인 중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의 초미세먼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화재 연기로 인한 연간 사망자 수는 1960년대 4만6천401명에서 2010년대 9만8천748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전체 화재 연기 관련 사망자 가운데 원인이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한 산불의 초미세먼지(PM2.5)로 분류된 것은 1960년대 연간 669명(1.2%)에서 2010년대 1만2천566명(12.8%)으로 19배나 증가했습니다.
연구팀은 1960년대에는 화재 연기로 인한 전체 사망의 1~3%가 원인이 기후변화로 지목됐으나 2010년대에는 5~28%가 기후변화가 원인이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화재는 주로 열대우림과 초원, 북미의 온대림, 유럽의 지중해림, 아한대림 등에서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3.'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4.'월화수목일일일'…주 4일 출근제 시행 어디?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500만원 런던행 비즈니스석 '150만원'?…아시아나 결국
- 8."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하다"…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첫선
- 9.롯데, 호텔도 판다…'L7 홍대' 2500억원에 매각
- 10.[단독] 정부,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 매입 과열 전수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