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못하는 베이비부머…창업 전선 뛰어든다
SBS Biz 최지수
입력2024.09.27 17:45
수정2024.09.27 20:12
[앵커]
우리 사회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은퇴 대신 창업을 선택하는 60대가 늘고 있습니다.
취업이 어려운 젊은 층뿐 아니라, 퇴직 후 생계가 막막해진 고령층이 창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최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이른바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되는 배경입니다.
저출생과 고령화도 그 어느 국가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통계청은 50년 뒤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예상 중간나이는 63.4세로 60대도 더 이상 많은 나이가 아니게 됩니다.
이런 영향으로, 고령층의 경제활동은 점차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60대 이상'이 대표로 있는 사업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후 가장 크게 늘었습니다.
나머지 각 연령대에선 증가율이 1% 대도 채 되지 않는 만큼 확연한 증가 추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고령화에 따라 기존 사장님들이 60대로 진입한 영향도 있고요.
퇴직 후 생계가 막막해진 고령층도 본격적으로 자영업에 뛰어드는 상황으로도 풀이할 수 있습니다.
주로 어느 분야를 창업하는지도 살펴봤습니다.
젊은 세대처럼 음식업·도소매업 창업을 하기보다는 보다 간단히 시작할 수 있는 소규모 창업을 택했습니다.
세탁업, 수선업, 무인매장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60대는 공격적인 창업보다는 퇴직금 등의 자본을 가지고 비교적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또 인건비가 적게 드는 분야에 뛰어들고 있었습니다.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고령층 창업은 앞으로 더 늘어날 거란 분석들이 나오는데요.
하지만 이들은 금융기관의 도움을 받기 어렵고 또 사업이 잘 안 됐을 경우 막대한 타격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더 오래 일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온 시대인 만큼 정책자금 융자 지원, 다양한 분야로의 창업 경로 확보 등 적절한 지원책들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우리 사회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은퇴 대신 창업을 선택하는 60대가 늘고 있습니다.
취업이 어려운 젊은 층뿐 아니라, 퇴직 후 생계가 막막해진 고령층이 창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최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이른바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되는 배경입니다.
저출생과 고령화도 그 어느 국가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통계청은 50년 뒤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예상 중간나이는 63.4세로 60대도 더 이상 많은 나이가 아니게 됩니다.
이런 영향으로, 고령층의 경제활동은 점차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60대 이상'이 대표로 있는 사업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후 가장 크게 늘었습니다.
나머지 각 연령대에선 증가율이 1% 대도 채 되지 않는 만큼 확연한 증가 추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먼저 고령화에 따라 기존 사장님들이 60대로 진입한 영향도 있고요.
퇴직 후 생계가 막막해진 고령층도 본격적으로 자영업에 뛰어드는 상황으로도 풀이할 수 있습니다.
주로 어느 분야를 창업하는지도 살펴봤습니다.
젊은 세대처럼 음식업·도소매업 창업을 하기보다는 보다 간단히 시작할 수 있는 소규모 창업을 택했습니다.
세탁업, 수선업, 무인매장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60대는 공격적인 창업보다는 퇴직금 등의 자본을 가지고 비교적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또 인건비가 적게 드는 분야에 뛰어들고 있었습니다.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고령층 창업은 앞으로 더 늘어날 거란 분석들이 나오는데요.
하지만 이들은 금융기관의 도움을 받기 어렵고 또 사업이 잘 안 됐을 경우 막대한 타격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더 오래 일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온 시대인 만큼 정책자금 융자 지원, 다양한 분야로의 창업 경로 확보 등 적절한 지원책들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3.'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4.'월화수목일일일'…주 4일 출근제 시행 어디?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500만원 런던행 비즈니스석 '150만원'?…아시아나 결국
- 8."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하다"…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첫선
- 9.롯데, 호텔도 판다…'L7 홍대' 2500억원에 매각
- 10.[단독] 정부,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 매입 과열 전수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