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글로벌 비즈 브리핑] 美 법무부, 슈퍼마이크로 '회계조작 의혹' 조사 착수 外

SBS Biz 임선우
입력2024.09.27 04:48
수정2024.09.27 05:42

[슈퍼마이크로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글로벌 비즈 브리핑] 한 눈에 보는 해외 경제 이슈

▲美 법무부, 슈퍼마이크로 '회계조작 의혹' 조사 착수
▲'챗GPT 어머니' 무라티도 떠났다...오픈AI, 고위 인사 퇴사행렬
▲美하원특위, 中 디스플레이 업체 제재 촉구..."韓 기술 훔쳐"
▲中 철강 막아라...日도 부랴부랴 '폭탄 관세' 

美 법무부, 슈퍼마이크로 '회계조작 의혹' 조사 착수


미 법무부가 인공지능(AI) 열풍의 최대 수혜 업체 중 하나인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회계 조작' 의혹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간 26일 보도했습니다.

소식통은 법무부가 최근 슈퍼마이크로의 '회계 조작' 의혹과 관련한 정보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관련자들과 접촉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조사는 아직 초기 단계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4월 슈퍼마이크로 전직 직원은 슈퍼마이크로와 함께 찰스 리앙 최고경영자(CEO)를 회계 위반 혐의로 고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더해 지난달에는 공매도 업체인 힌덴버그 리서치가 슈퍼마이크로가 회계를 조작했다는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습니다.

힌덴버그는 보고서에서 슈퍼마이크로에 대한 3개월간 조사를 거쳐 "확연한 회계상의 경고신호와 관계 당사자의 미공개 거래 증거, 제재 및 수출통제 실패, 소비자 이슈 등을 찾아냈다"고 밝혔습니다.

또 2020년 8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사로 회계 위반사항이 적발돼 1천750만 달러의 과징금을 냈지만, 개선되지 않았다며 슈퍼마이크로를 "연쇄 상습범이라고 본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힌덴버그의 이런 주장은 다음 날 슈퍼마이크로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해야 하는 연차 회계보고서 제출을 지연한다고 밝히면서 의혹은 증폭됐습니다.

이에 지난달 28일 뉴욕 증시에서 슈퍼마이크로 주가는 19% 폭락했습니다.

슈퍼마이크로는 데이터센터용 서버 제조업체로, AI 열풍의 최대 수혜 주 중 하나로 꼽혀왔습니다.

전 세계 AI 칩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엔비디아의 최신 칩을 장착한 서버를 공급하면서 주가는 급등했습니다.

2018년 말 13.80달러였던 주가는 매년 상승세를 이어갔고, 특히 지난해 말 284달러 수준에서 지난 3월 8일에는 장중 1천229달러를 찍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주가는 내림세를 걷고 있고, 법무부의 조사 소식이 알려진 이날에도 주가는 장중 10% 넘게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챗GPT 어머니' 무라티도 떠났다...오픈AI, 고위 인사 퇴사행렬

최근 오픈AI 고위 인사들의 퇴사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핵심 인물이었던 '챗GPT의 어머니' 미라 무라티 최고기술책임자(CTO)도 회사를 떠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무라티 CTO는 현지시간 25일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나만의 탐험을 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만들고 싶어 물러나려고 한다"며 "순조로운 업무 인수인계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무라티 CTO는 퇴사 이유와 이후 계획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무라티는 2018년 오픈AI에 합류해 전 세계 AI 열풍을 이끈 챗GPT와 이미지 생성 모델 달리(DALL-E) 등 주요 제품 출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지난 5월에는 챗GPT의 음성 모델인 'GPT-4o(포오)' 공개 당시 직접 시연을 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이사회로부터 축출당했을 때는 임시 CEO를 맡으며 올트먼의 복귀를 지지한 바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무라티의 퇴사 소식에 오픈AI 직원들이 충격을 받았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무라티를 포함해 최근 공동 창업자 등 최근 오픈AI 고위 인사들이 잇따라 회사를 떠나고 있습니다.

무라티의 퇴사 발표는 지난달 오픈AI 공동 창업자였던 존 슐먼이 회사를 떠난 지 50일 만에 나왔습니다.

오픈AI에서 AI 모델 사후 학습 연구팀을 이끌었던 슐먼은 "AI 정렬 연구에 더 깊이 집중하고 실무 기술 업무로 돌아가 내 경력에 새로운 장을 열고자 한다"며 오픈AI를 떠났습니다.

슐먼은 오픈AI 경쟁사인 앤스로픽(Anthropic)으로 옮겼습니다. 또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인 그레그 브록먼은 "재충전"을 이유로 연말까지 장기 휴가를 냈습니다.

앞서 지난 5월에는 공동 창립자인 일리야 수츠케버 당시 수석 과학자가 오픈AI로 떠나 새로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을 설립했고, 오픈AI를 떠났다가 지난해 초 재합류했던 공동 창업자 안드레이 카르파티도 지난 2월 오픈AI를 그만뒀습니다.

2015년 오픈AI를 만든 공동 창업자들 가운데 샘 올트먼 CEO와 보이치에흐 자렘바 두 명만 남게 됐습니다.

무리타의 사직은 오픈AI가 AI 기술 개발을 위해 최근 65억 달러의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펀딩)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오픈AI는 비영리 이사회가 주요 사업을 통제해 오고 있는데, 이번 펀딩에서 투자자들은 주주의 권리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이사회가 더 이상 오픈AI의 주요 사업을 통제하지 않고 투자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영리 모델로 전환하는 구조조정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美하원특위, 中 디스플레이 업체 제재 촉구..."韓 기술 훔쳐"
 

미국 하원에서 중국산 디스플레이 업체에 대한 제재 요청이 제기됐습니다.

미 하원 중국특위 존 물레냐 위원장은 현지시간 25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중국의 액정표시장치(LC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 업체인 BOE와 톈마를 재재 명단에 올릴 것을 촉구했습니다.

물레냐 위원장은 "중국이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성장하며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이들 기업을 국방부의 '중국 군수 기업' 명단에 추가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물레냐 위원장은 글로벌 LCD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0%에서 오늘날 72% 수준으로 성장했다"며 중국의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등에 업고 저가 공세를 펴며 여타 기업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목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경향이 이어질 경우 가상현실 등에 기반한 미국의 첨단 군사 기술이 적국에 의존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 두 업체들이 중국군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적시했습니다.

또 "파이낸셜타임스(FT) 조사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은 2016∼2023년 한국의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반도체 등 다른 산업 부문보다 훨씬 많은 기술을 훔친 것으로 나타났다"며 한국 기업의 피해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을 부상하는 최대 위협으로 규정한 미국은 특히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을 겨냥한 제재의 고삐를 조이고 있습니다.

미 상무부는 최근에는 자율 주행과 통신 기능에 중국이나 러시아산 소프트웨어·부품을 사용한 자동차의 판매를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中 철강 막아라...日도 부랴부랴 '폭탄 관세' 

일본 정부가 중국산 철강 등 원산지 가격보다 싼 값에 유입되는 제품에 부과하는 반덤핑 관세 기준을 강화합니다. 미국과 유럽, 중남미 주요 국가들은 이미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중국산 철강의 우회 수출에 빗장을 걸었습니다.

2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원산지의 국내 가격보다 싼 값에 수입된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대상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특히 제3국을 통해 유입되는 우회 수출품은 물론 제품의 소재·부재 등을 다른 국가로 이전해 가공·변경한 경우도 과세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반덤핑 관세는 자국 산업 성장에 피해를 주는 저가 수입품을 막는 목적으로 부과하는 수단입니다. 세계무역기구(WHO)는 수출국의 내수 가격보다 수입가가 낮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가격 차이를 상쇄하기 위해 관세를 물릴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이어 일본이 중국산 철강 제품의 저가 공세를 막더라도 통상법 위반이 아닙니다.

신문은 그동안 반덤핑 관세를 제한적으로 활용해 온 일본의 이 같은 결정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짚었습니다. 일본의 현행 제도는 원산지와 제품을 지정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제3국을 경유해 들어온 제품이나 사양을 일부 바꾼 경우 과세가 불가능했습니다. 현재 반덤핑 관세 부과 대상은 배터리 제조에 사용되는 중국산 전해질 이산화망간 등 6개 품목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우회 수출을 통해 과세를 회피할 것으로 의심되는 제품도 간단한 조사만으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됩니다. 일본 정부는 재무성 산하 관세·외국환 등 심의회와 논의를 거쳐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내년에는 관세법 개정안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20개국(G20)은 대부분 중국의 우회 수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해 8월 동남아시아 4개국을 통해 수입되는 중국산 태양광 발전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올해는 브라질·튀르키예·베트남 등 신흥국들도 중국산 철강 등 우회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높이거나 관련 조사를 시작하는 등 장벽을 높이고 있습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저렴한 중국산 철강 등에 대한 우회 수입을 막을 경우 규제가 느슨한 일본으로 문제의 제품들이 쏟아져 들어올 수 있어 정부가 시급한 조치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진단했습니다.

일본 통상 정책 전문가인 소피아 대학 카와세 츠요시 교수는 "글로벌 공급망이 확장되고 생산 거점이 분산되면수출 우회로 인한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반덤핑 관세와 같은 조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정부 조사가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임선우다른기사
[글로벌 비즈] 美 법무부, 슈마컴 '회계조작' 조사
[글로벌 비즈 브리핑] 美 법무부, 슈퍼마이크로 '회계조작 의혹' 조사 착수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