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금감원, 둔촌주공 집단대출 뛰어든 단위농협에 '풍선효과' 경고

SBS Biz 정동진
입력2024.09.18 18:14
수정2024.09.18 18:38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대출수요가 상호금융권으로 넘어가는 풍선효과가 우려되자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에 나섰습니다.

오늘(18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서울강동농협이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 '올림픽파크포레온'의 잔금대출 기관으로 선정된 것과 관련해 농협중앙회에 건전성 관리 감독을 주문했습니다.

금감원은 서울강동농협의 외형과 건전성을 감안해 한도를 책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은 지난달 잔금대출 금융기관으로 시중은행과 부산은행 외에 단위농협인 서울강동농협을 선정한 바 있습니다.

집단대출은 신규 아파트 분양자를 대상으로 한 중도금 대출이나 잔금 대출 등을 의미합니다. 1금융권이 대부분인 집단대출 시장에서 2금융권이 잔금대출 금융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이 지배적입니다.

일각에서는 가계대출 옥죄기에 나선 은행권이 잔금대출과 관련해 제시한 대출 조건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재건축 조합이 2금융권으로 눈길을 돌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서울강동농협의 공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자산 규모는 2조7천820억원으로,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단위조합으로 알려집니다.

1금융권보다 금리는 다소 높을 수밖에 없고 만기도 최장 30년이지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50%라는 점에서 차주 입장에게는 유리할 수 있습니다. 1금융권은 이보다 더 엄격한 40%의 DSR을 적용받습니다.

금융당국은 강동농협뿐 아니라 다른 농협 단위조합들도 아파트 집단대출에 뛰어드는지 모니터링할 계획으로 전해집니다. 은행권의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 강도가 높아지는 것과 달리, 신협·수협·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서는 대출 관리를 위한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달부터 2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는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11일 발표한 '8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상호금융과 보험,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전달 대비 5000억원 늘어나며 올 들어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정동진다른기사
대출 막혀도 금리는 내려간다…코픽스 석 달째↓
iM뱅크, 주담대 금리 0.65%p 또 인상…보름도 안돼 1.2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