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패닉에 F4 회의…"가계부채, 엄정 관리 지속"
SBS Biz 오서영
입력2024.09.06 11:29
수정2024.09.06 11:39

[앵커]
최근 은행 대출을 둘러싼 변화가 오락가락한 모습을 보이면서 수요자의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교통정리에 나섰습니다.
일단 현재까지 한목소리로 나온 방향은 가계부채를 엄격하게 관리하겠다는 겁니다.
오서영 기자, 오전에 당국 회의가 있었죠?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한 간담회에서도 가계부채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수장들은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논의하며 정부의 일관된 입장을 명확히 표명하겠다고 판단했는데요.
이복현 금감원장은 "엄정 관리 기조를 유지하는 게 대원칙"이라고 SBS Biz와의 통화에서 밝혔습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규제를 두 달 연기하면서 대출 수요를 자극했지만, 다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올리고 중단하는 조치가 이어지도록 압박하면서 혼선만 키웠다는 평가가 이어졌습니다.
오락가락 대출 정책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자, 일관된 입장을 내놓는 데 이어 실수요자 대출 보호 등과 관련한 발표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은행권 움직임은 어떤가요?
[기자]
금융당국뿐 아니라 은행회관에서는 은행과 당국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계부채 실무협의회' 킥오프 회의가 열렸습니다.
현재 금융당국과 시중은행 임원 등이 모여 한 달에 한 번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진행하는데 더불어 실무자들이 모여 가계대출 관리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이달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를 시행한 가운데 전 금융권으로 번질 수 있는 풍선효과도 경계하며 대비할 전망입니다.
SBS Biz 오서영입니다.
최근 은행 대출을 둘러싼 변화가 오락가락한 모습을 보이면서 수요자의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교통정리에 나섰습니다.
일단 현재까지 한목소리로 나온 방향은 가계부채를 엄격하게 관리하겠다는 겁니다.
오서영 기자, 오전에 당국 회의가 있었죠?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한 간담회에서도 가계부채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수장들은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논의하며 정부의 일관된 입장을 명확히 표명하겠다고 판단했는데요.
이복현 금감원장은 "엄정 관리 기조를 유지하는 게 대원칙"이라고 SBS Biz와의 통화에서 밝혔습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규제를 두 달 연기하면서 대출 수요를 자극했지만, 다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올리고 중단하는 조치가 이어지도록 압박하면서 혼선만 키웠다는 평가가 이어졌습니다.
오락가락 대출 정책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자, 일관된 입장을 내놓는 데 이어 실수요자 대출 보호 등과 관련한 발표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은행권 움직임은 어떤가요?
[기자]
금융당국뿐 아니라 은행회관에서는 은행과 당국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계부채 실무협의회' 킥오프 회의가 열렸습니다.
현재 금융당국과 시중은행 임원 등이 모여 한 달에 한 번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진행하는데 더불어 실무자들이 모여 가계대출 관리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이달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를 시행한 가운데 전 금융권으로 번질 수 있는 풍선효과도 경계하며 대비할 전망입니다.
SBS Biz 오서영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진짜 전기요금 적게 나온다'…에어컨 요금 아끼는 법
- 2.무주택자만 신났다…올림픽파크포레온 줍줍 나온다
- 3.[단독] '고3 국민연금 자동 가입' 급물살 탄다…與, 대표 발의
- 4.[단독] 은행서 손바닥 등록했어도 공항선 ‘X’…확인하세요
- 5."월 70만원 5년 납입땐 5천만원"…청년들 이건 꼭 드세요
- 6.'20억 집 살면서 통장에 월 360만원 꽂힌다'
- 7.삼성디스플레이, 전 직원에 신제품 '갤Z플립7' 지급
- 8.'내 집 살면서 月 200만원 꽂히는데'…자식이 발목?
- 9.왜 영끌해서 강남3구 가냐구?...이런 이유로 간다
- 10.5천원도 비싸다…치킨 한마리 3500원이라니 '어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