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완충'은 죄가 없다…불났을 때는 고충전이 위험

SBS Biz 김완진
입력2024.08.14 17:47
수정2024.08.14 19:46

[앵커] 

최근 전기차 화재로 공포심은 커졌는데, 뭐가 맞는 대처법인지에 대해선 여전히 갑론을박이 많습니다. 

각종 대처법과 헷갈리는 부분들을, 김완진 기자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기자] 

서울시가 충전율 90% 넘지 않는 전기차만 지하 주차장에 출입하도록 권고하기로 했죠. 

90% 넘게 충전하면 위험하단 얘기인가? 

생각할 수 있는데, 업계와 전문가들은 완충을 하고, 완충한 채로 충전기에 연결됐다는 이유로 과충전이 돼 폭발하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완성차 업체가 배터리를 탑재할 때 이른바 '안전마진'을 설정하기 때문인데, 100% 충전 표시가 뜨더라도 실제 충전량은 96~97%입니다. 

충전기를 계속 꼽아놔도, 96~97%에서 더 높아지지 않습니다. 

충전율이 높을수록 에너지가 많은 만큼 불이 났을 때 더 크게 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충전율이 96%일 때보다 90%일 때 불이 날 확률이 더 낮다고는 단정할 수 없습니다. 

확증적 데이터가 없고, 몇% 포인트 차이로는 화학반응이 크게 촉진되지 않아서입니다. 

서울시의 '충전율 90% 이하' 조치는, 일종의 '안전거리 확보'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 겁니다. 

[윤성훈 / 중앙대 융합공학부 교수 : 셀 자체 결함이나 한 셀이 열화가 심하게 일어나 상태가 안 좋아서 그런 외부적인 요인이 많고 충격이라든지 이물이라든지 불량, 이런 것들이 결정적이기 때문에….] 

한 달에 한 번 완충은 권장되기도 합니다. 

배터리팩은 여러 개의 셀을 모은 것인데, 특정 셀에서만 전압과 온도 차이가 나면 안정성이 흔들리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가득 충전해 셀 간의 전압 편차를 고르게 가져가야 한다는 겁니다. 

전기차 주차장을 지상으로 옮겨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는데, 신축 아파트들에는 지상 주차 공간이 없는 경우가 많죠. 

지상에 공간을 추가 확보하려면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보행자 안전 등 다른 고려 사항도 생깁니다. 

충전기를 입구와 가까운 지하에 설치하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NCM 배터리와 LFP 배터리 가운데서는, 일단 이미 불이 났을 때는 LFP가 비교적 안전성이 높다는 게 통설입니다. 

NCM은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가 긴 대신, 화재 시 열 폭주가 더 잘 일어날 수 있어서입니다. 

현재 LG엔솔과 SK온, 삼성SDI가 전기차에 공급하는 배터리는 모두 NCM 배터리입니다. 

중국 CATL과 BYD는 주로 LFP 배터리를 공급하지만, 니로 EV와 코나 EV 등에는 CATL의 NCM 배터리가 탑재되기도 했습니다. 

SBS Biz 김완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완진다른기사
SK하이닉스 “ASML 최신 노광장비 사용 검토”
4만 전자 나락…삼성의 겨울 길어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