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中, 미국 제재 대비해 삼성전자 HBM 비축"
SBS Biz 이민후
입력2024.08.06 15:47
수정2024.08.06 15:50

화웨이와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까지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에 대비해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미리 사 모으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현지시간 6일 보도했습니다.
한 소식통은 화웨이와 바이두가 올해 초부터 인공지능(AI)에 필요한 반도체 구매를 늘리면서 중국 기업들이 삼성전자 HBM 매출의 30%를 차지한다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 소재 투자자문사 화이트 오크 캐피털의 노리 치우 투자 디렉터는 "중국 내 기술이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고, 다른 (HBM) 제조업체들의 생산 전량이 이미 미국 AI 기업들에 의해 주문 예약이 돼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HBM에 대한 중국의 수요가 매우 높아졌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HBM을 생산하는 주요 반도체 제조업체는 한국의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미국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 3사뿐입니다
중국의 칩 수요는 최첨단 버전인 HBM3E보다 두 단계 뒤진 HBM2E모델에 집중돼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소식통들은 중국 내 HBM 비축 규모를 추정하는 게 어렵지만 위성 제조업체부터 텐센트, 화웨이 등 기술기업, 칩 설계 기업 호킹(Haawking) 등 스타트업을 포함해 다양한 기업들이 이를 구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지난주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당국이 이번 달 중으로 HBM 규제에 관한 세부 내용이 포함된 새로운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소식통들은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중국에 대한 HBM 수출 통제는 경쟁사에 비해 삼성전자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덧붙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3.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9.[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10.국민연금 때문에 후회?…건보료에 억울한 31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