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AI 사회 대비 부족·저출생·고령화', 韓 G7 진입에 방해"

SBS Biz 박연신
입력2024.07.28 14:56
수정2024.07.28 15:11


우리나라의 주요 7개국, G7 진입에 '인공지능, AI 사회에 대한 불충분한 대비'와 '저출생·고령화'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G7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조건' 보고서를 오늘(28일) 발표했습니다.

연구원은 한국이 G7에 진입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 세계 경제의 중·장기 저성장 ▲ 서비스업의 취약한 생산성 ▲ AI 사회에 대한 대비 부족 ▲ 저출생·고령화 등을 꼽았습니다.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이후(2023∼2029년) 글로벌 경제는 연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2011∼2019년)의 연평균 성장률(3.5%)보다 낮은 겁니다.

또 연구원은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경제 블록화, 중국의 중진국 함정 등 불안 요인이 현실화할 수 있어 한국 경제의 수출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 경제의 성장 속도 저하 원인으로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이 과도하게 낮은 점'도 지목됐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2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2% 수준, G7 평균의 86% 수준, 미국의 62% 수준입니다.

하지만 서비스업 부문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OECD 평균의 85%, G7 평균의 77%, 미국의 51% 수준에 그칩니다.

아울러 우리나라 AI 민간투자 규모는 약 13억9천만 달러로, 미국(672억 달러)과 중국(77억6천만달러)보다는 뒤처집니다.

이밖에 연구원은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낮아 성장잠재력 하락(물적 생산요소 감소)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연구원은 "한국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는 내수 부문의 체질 개선을 지속해야 한다"며 "제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산업계 혁신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박연신다른기사
[현장연결] 고려아연 '영풍-MBK' 의결권 무력화…6시간 만에 진행
시장 침체? 강남3구는 달랐다…전국 집값은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