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에 제약사 낭패?…2분기 희비 갈릴 듯
SBS Biz 정광윤
입력2024.07.22 14:57
수정2024.07.22 17:28

[앵커]
의료대란이 장기화되면서 병원뿐 아니라 제약바이오 업계도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2분기 실적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광윤 기자, 제약업계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지난 2월 말 전공의 이탈이 시작된 뒤 2분기부터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있었는데, 당장은 선방했습니다.
대표적인 곳들이 입원환자 감소와 직결되는 수액제 회사들인데요.
국내 수액제 시장 절반을 차지한 중외제약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23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5.7% 증가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수액제 매출 감소분을 다른 전문의약품 매출 상승분으로 메운 겁니다.
수액제 경쟁사인 HK이노엔 역시 2분기 영업이익 240억 원으로 57% 증가가 예상되고 종합병원에 항암제 등을 공급하는 보령도 9.6% 증가한 208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이와 관련해 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업체들이 2차 병원 등 전공의 파업 영향이 적은 병원으로 영업을 다변화한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GC녹십자는 영업이익이 18% 감소해 200억 원에 못 미치고, 유한양행도 14% 넘게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이오업계에선 셀트리온 영업이익이 60% 가까이 줄어 700억 원대에 그칠 전망입니다.
다만 이 업체들의 실적 부진도 의료대란보다는 R&D·마케팅 비용 증가와 합병 등에 따른 영향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의료대란이 더 길어질 걸로 보인다고요?
[기자]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체 전공의 1만 3천여 명 가운데 반이상인 7600여 명의 사직이 처리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22일)부터 오는 31일까지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진행되지만 현재 분위기에선 지원률이 낮을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데요.
연세대, 가톨릭대 의대 등 교수들은 "사직한 전공의 자리에 새 전공의를 뽑아서는 안 된다"며 "이를 강행하면 교육을 거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벌써 5개월째 지속되는 의료대란이 더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SBS Biz 정광윤입니다.
의료대란이 장기화되면서 병원뿐 아니라 제약바이오 업계도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2분기 실적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광윤 기자, 제약업계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지난 2월 말 전공의 이탈이 시작된 뒤 2분기부터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있었는데, 당장은 선방했습니다.
대표적인 곳들이 입원환자 감소와 직결되는 수액제 회사들인데요.
국내 수액제 시장 절반을 차지한 중외제약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23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5.7% 증가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수액제 매출 감소분을 다른 전문의약품 매출 상승분으로 메운 겁니다.
수액제 경쟁사인 HK이노엔 역시 2분기 영업이익 240억 원으로 57% 증가가 예상되고 종합병원에 항암제 등을 공급하는 보령도 9.6% 증가한 208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이와 관련해 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업체들이 2차 병원 등 전공의 파업 영향이 적은 병원으로 영업을 다변화한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GC녹십자는 영업이익이 18% 감소해 200억 원에 못 미치고, 유한양행도 14% 넘게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이오업계에선 셀트리온 영업이익이 60% 가까이 줄어 700억 원대에 그칠 전망입니다.
다만 이 업체들의 실적 부진도 의료대란보다는 R&D·마케팅 비용 증가와 합병 등에 따른 영향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의료대란이 더 길어질 걸로 보인다고요?
[기자]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체 전공의 1만 3천여 명 가운데 반이상인 7600여 명의 사직이 처리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22일)부터 오는 31일까지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진행되지만 현재 분위기에선 지원률이 낮을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데요.
연세대, 가톨릭대 의대 등 교수들은 "사직한 전공의 자리에 새 전공의를 뽑아서는 안 된다"며 "이를 강행하면 교육을 거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벌써 5개월째 지속되는 의료대란이 더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SBS Biz 정광윤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2.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3.'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4.[단독] 삼성전기, 주 52시간 관리 논란…고용부 조사 검토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9.'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10.[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