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금리 인하 깜빡이·CPI 물가·엔화의 불륜·K배터리 역성장·LG 인도 참사
SBS Biz 김종윤
입력2024.07.11 05:41
수정2024.07.11 07:04
■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세한대 특임교수
◇ 금리 인하 깜빡이
파월 의장이 금리인하에 조금 더 다가서는 모습입니다. 오늘(11일)은 하원 청문회에 출석했는데, 금리인하는 11월 대선과 상관없다고 했는데 시장에서는 그 전에 할 수 있다고 받아들이고 있어요?
- 파월, 어제(10일) 이어 연이틀 의회 출석…통화정책 관련 보고
- 9월 금리인하 기대 부추긴 파월…"11월 대선 관계없어"
- 파월 "금리 인하, 주어진 데이터 기반으로 필요한 시점에"
- '신중' 유지한 파월 "어느 정도 확신…말할 준비 아직"
- 파월 "금리인하 고려 전 2%까지 기다리지 않을 수도"
- 파월 "오래 기다리면 아마 너무 오래 기다린 것일 수도"
- 다음 FOMC 회의 7월 말…시장, 9월 인하 가능성 기대
◇ CPI 물가
오늘 밤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됩니다.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6월 CPI가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요?
-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고조…시장, 다음 시선은 'CPI'
- 미 6월 CPI 3.1% 상승 전망…5월 상승률 하회 예상
- 4·5월 CPI, 전월 수치 하회…CPI 둔화세 지속 관건
- 세부 항목 중 '식지 않는' 주거비, 상승률 완화 주목
- 미 6월 근원 CPI 3.4% 전망…5월 상승률 수준 예상
- 연준 통화정책 초점, 물가 안정→완전 고용 이동 중
- 인플레·고용 지표 둔화 지속 시 금리인하 토대 구축
- 내일(12일) 6월 PPI 발표 대기…PPI, 시간차 두고 CPI 영향
- 지난 5월 깜짝 하락했던 PPI…6월엔 0.1% 상승 전망
◇ 엔화의 불륜
일본이 20년 만에 새 지폐를 발행한다는 소식 전해드린 적 있는데요. 1만 엔에 들어간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일제강점기 시절 한반도 경제 침탈에 앞장선 인물이라 논란이 있었는데 일본 내부에서도 과거 불륜 이력 때문에 논란이라고요?
- 일본, 20년 만에 새 지폐 발행…1만 엔 신권 인물 논란
- '근대 日경제 아버지' 시부사와,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
- 시부사와, 아내 두고 불륜…고용인에게 부적절한 행동
- 일본 아베마타임스 "아내와 불륜녀 한집에 동거시켜"
- 결혼식 축의금, 1만 엔 신권 대신 구권 사용 매너 조언도
- 시부사와, 일제강점기 시절 한반도 경제 침탈에 앞장서
- 대한제국 첫 근대적 지폐 발행…지폐 본인 초상화 넣어
◇ K배터리 역성장
올해 한국 배터리 산업의 매출이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표 3사 중 두 개 회사가 올해 연간 매출이 작년보다 1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요?
- 올해 1분기 배터리 판매 실적 중국 CATL 압도적 1위
- 1분기 韓 배터리 3사 출하량 합쳐도 中 CATL에 밀려
- 중국 CATL 75GWh 1위 차지…뒤이어 중국 BYD 2위
-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25.4%…CATL 점유율 36.2%
- 유럽·미국 전기차 시장 약세…中 고성장세로 시장 주도
- 배터리 3대 광물 광산 지분 확보…中 407·日 31·韓 15
- 한국, 시장 점유율 높아도 핵심 광물 대부분 中 의존
- 3년 내 중국 광물 의존도 못 낮추면 미국 보조금 박탈
◇ LG 인도 참사
LG화학 핵심 경영진들이 인도를 찾았습니다. 신사업 발굴이나 투자 때문이 아니라 4년 전 인도에서 발생한 사고 때문이라고요?
- LG화학 핵심 경영진들,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방문
- 인도 LG폴리머스 가스 유출 사고 피해 지역 직접 찾아
- 나이두 주 총리·사고 지역 주민들 만나 지원책 논의
- 신학철 "소송 결과 상관없이 주민에게 200억 원 지원"
- 2020년 LG폴리머스 탱크 가스 유출…주민 12명 사망
- 총 200억 이상 공탁금…4년째 재판에 주민 전달 안 돼
- LG폴리머스 기존 공장 폐쇄…4년째 직원 고용 유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금리 인하 깜빡이
파월 의장이 금리인하에 조금 더 다가서는 모습입니다. 오늘(11일)은 하원 청문회에 출석했는데, 금리인하는 11월 대선과 상관없다고 했는데 시장에서는 그 전에 할 수 있다고 받아들이고 있어요?
- 파월, 어제(10일) 이어 연이틀 의회 출석…통화정책 관련 보고
- 9월 금리인하 기대 부추긴 파월…"11월 대선 관계없어"
- 파월 "금리 인하, 주어진 데이터 기반으로 필요한 시점에"
- '신중' 유지한 파월 "어느 정도 확신…말할 준비 아직"
- 파월 "금리인하 고려 전 2%까지 기다리지 않을 수도"
- 파월 "오래 기다리면 아마 너무 오래 기다린 것일 수도"
- 다음 FOMC 회의 7월 말…시장, 9월 인하 가능성 기대
◇ CPI 물가
오늘 밤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됩니다.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6월 CPI가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요?
-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고조…시장, 다음 시선은 'CPI'
- 미 6월 CPI 3.1% 상승 전망…5월 상승률 하회 예상
- 4·5월 CPI, 전월 수치 하회…CPI 둔화세 지속 관건
- 세부 항목 중 '식지 않는' 주거비, 상승률 완화 주목
- 미 6월 근원 CPI 3.4% 전망…5월 상승률 수준 예상
- 연준 통화정책 초점, 물가 안정→완전 고용 이동 중
- 인플레·고용 지표 둔화 지속 시 금리인하 토대 구축
- 내일(12일) 6월 PPI 발표 대기…PPI, 시간차 두고 CPI 영향
- 지난 5월 깜짝 하락했던 PPI…6월엔 0.1% 상승 전망
◇ 엔화의 불륜
일본이 20년 만에 새 지폐를 발행한다는 소식 전해드린 적 있는데요. 1만 엔에 들어간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일제강점기 시절 한반도 경제 침탈에 앞장선 인물이라 논란이 있었는데 일본 내부에서도 과거 불륜 이력 때문에 논란이라고요?
- 일본, 20년 만에 새 지폐 발행…1만 엔 신권 인물 논란
- '근대 日경제 아버지' 시부사와,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
- 시부사와, 아내 두고 불륜…고용인에게 부적절한 행동
- 일본 아베마타임스 "아내와 불륜녀 한집에 동거시켜"
- 결혼식 축의금, 1만 엔 신권 대신 구권 사용 매너 조언도
- 시부사와, 일제강점기 시절 한반도 경제 침탈에 앞장서
- 대한제국 첫 근대적 지폐 발행…지폐 본인 초상화 넣어
◇ K배터리 역성장
올해 한국 배터리 산업의 매출이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표 3사 중 두 개 회사가 올해 연간 매출이 작년보다 1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요?
- 올해 1분기 배터리 판매 실적 중국 CATL 압도적 1위
- 1분기 韓 배터리 3사 출하량 합쳐도 中 CATL에 밀려
- 중국 CATL 75GWh 1위 차지…뒤이어 중국 BYD 2위
-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25.4%…CATL 점유율 36.2%
- 유럽·미국 전기차 시장 약세…中 고성장세로 시장 주도
- 배터리 3대 광물 광산 지분 확보…中 407·日 31·韓 15
- 한국, 시장 점유율 높아도 핵심 광물 대부분 中 의존
- 3년 내 중국 광물 의존도 못 낮추면 미국 보조금 박탈
◇ LG 인도 참사
LG화학 핵심 경영진들이 인도를 찾았습니다. 신사업 발굴이나 투자 때문이 아니라 4년 전 인도에서 발생한 사고 때문이라고요?
- LG화학 핵심 경영진들,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방문
- 인도 LG폴리머스 가스 유출 사고 피해 지역 직접 찾아
- 나이두 주 총리·사고 지역 주민들 만나 지원책 논의
- 신학철 "소송 결과 상관없이 주민에게 200억 원 지원"
- 2020년 LG폴리머스 탱크 가스 유출…주민 12명 사망
- 총 200억 이상 공탁금…4년째 재판에 주민 전달 안 돼
- LG폴리머스 기존 공장 폐쇄…4년째 직원 고용 유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3.'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4.병원비 급한데, 돈 없을 때 국민연금 급전 아시나요
- 5.[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6.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7.'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8.'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9.'1억? 우리는 1억에 4천 더'…저출산 영끌 대책 내놓은 이곳
- 10.대학 합격했다고 좋아했는데…이 소식에 부모님 '한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