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5개월만에 2820선 찍은 코스피…'9만전자' 시동
SBS Biz 이정민
입력2024.07.04 14:55
수정2024.07.04 15:04

[앵커]
코스피가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시장금리 하락과 환율 안정으로 대형주들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정민 기자, 마감 앞둔 증시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코스피는 조금 전인 오후 2시 50분 기준 어제(3일)보다 0.84% 오른 2817선에 거래 중입니다.
개인이 1조 600억 원 넘게 순매도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1조 700억 원가량 매수하며 장중 2820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1월 이후 2년 5개월 만입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삼성전자가 장중 2.5% 넘게 급등하며 두 달 만에 8만 4천 원 대를 넘어섰습니다.
오늘(4일) 새벽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주가 강세를 보인 게 상승 탄력으로 작용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도 미 증시 훈풍으로 소폭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SK하이닉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 LG전자 등은 하락 중입니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관련 세제 지원안 발표 효과로 금융주도 강세입니다.
신한지주는 장중 2.5% 이상 상승했고, KB금융과 하나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는 1% 이상 올랐습니다.
코스닥은 2시 50분 기준 어제보다 0.50% 오른 840선에서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앵커]
외환시장은 어떻습니까?
[기자]
원·달러 환율은 2시 50분 기준 어제보다 0.32% 떨어진 1381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오늘 원·달러 환율은 어제보다 20전 내린 1385원 60전에 개장했는데요.
서울외환시장에서는 미국 고용지표가 악화하면서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시아 증시는 대만과 일본 강세가 눈에 띄는데요.
대만과 일본은 장중 1% 올랐습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코스피가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시장금리 하락과 환율 안정으로 대형주들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정민 기자, 마감 앞둔 증시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코스피는 조금 전인 오후 2시 50분 기준 어제(3일)보다 0.84% 오른 2817선에 거래 중입니다.
개인이 1조 600억 원 넘게 순매도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1조 700억 원가량 매수하며 장중 2820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1월 이후 2년 5개월 만입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삼성전자가 장중 2.5% 넘게 급등하며 두 달 만에 8만 4천 원 대를 넘어섰습니다.
오늘(4일) 새벽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주가 강세를 보인 게 상승 탄력으로 작용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도 미 증시 훈풍으로 소폭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SK하이닉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 LG전자 등은 하락 중입니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관련 세제 지원안 발표 효과로 금융주도 강세입니다.
신한지주는 장중 2.5% 이상 상승했고, KB금융과 하나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는 1% 이상 올랐습니다.
코스닥은 2시 50분 기준 어제보다 0.50% 오른 840선에서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앵커]
외환시장은 어떻습니까?
[기자]
원·달러 환율은 2시 50분 기준 어제보다 0.32% 떨어진 1381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오늘 원·달러 환율은 어제보다 20전 내린 1385원 60전에 개장했는데요.
서울외환시장에서는 미국 고용지표가 악화하면서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시아 증시는 대만과 일본 강세가 눈에 띄는데요.
대만과 일본은 장중 1% 올랐습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3.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9.[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10.국민연금 때문에 후회?…건보료에 억울한 31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