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글로벌 피벗 확산, 美도 모락모락…한은 언제쯤

SBS Biz 오정인
입력2024.06.07 17:47
수정2024.06.07 18:41

[앵커] 

세계 주요국들이 하나 둘 금리를 낮추기 시작했습니다. 

통화정책의 전환, 피벗이 확산되는 분위기인데요. 

석 달 뒤 미국의 기준금리도 낮아질 거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금리 향방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보도에 오정인 기자입니다. 

[기자] 

캐나다와 유럽의 중앙은행이 4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했습니다. 

스위스와 스웨덴에 이어 주요국들이 잇따라 피벗에 나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물가 상승률이 2%에 안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에서는 3분기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명실 /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 3분기 국내 소비자 물가가 2.5% 정도는 무리 없이 도달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8월 정도에는 한은도 인하를 한 번 하지 않을까. 소비 위축 관련해서 신경 쓰는 모양새이기 때문에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도 금리 인하 시 점진적으로 내수 회복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고, 선제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물가 안정화가 전부는 아니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안재균 / 신한투자증권 연구원 : (한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국가잖아요. 유가, 환율 등을 좀 더 봐야 되는데 (금리 인하를) 서두를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10월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고요.] 

한국은행은 아직까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입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하반기에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4월에 비해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라고 말했습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우리가 (미국) 연준보다 빨리 할 수는 없으니까, 표면적으로는 국내 물가 등을 보고 있다고 하지만 미국 연준이 금리를 언제 인하하느냐에 대해 내부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을 것 같아요.] 

글로벌 투자은행 7곳 중 3곳은 3분기부터, 4곳은 4분기부터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SBS Biz 오정인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정인다른기사
상속세 냈다면 상위 6%…10억~20억 주고 7400만원 냈다
최저임금 '구분 적용' 결론 못내…법정 기한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