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약국, 신분증 '깜빡'했으면 어떻게 하죠?
SBS Biz 송태희
입력2024.05.20 08:13
수정2024.05.20 21:15
[8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내원객들이 진료비를 수납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늘(20일) 병의원과 약국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신분증을 가져가지 않아 본인 확인을 하지 못할 경우 우선 비용을 모두 낸 뒤 추후 본인 확인을 거쳐 돌려받아야 합니다.
1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건강보험 본인 확인 의무화를 골자로 한 개정된 국민건강보험법이 오는 20일부터 전국 요양기관에서 시행됩니다.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데 부정수급하거나 타인 명의로 의약품을 확보하기 위해 건강보험증을 대여·도용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정부가 인정하는 신분증은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외국인등록증 등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행정·공공기관 발행 증명서입니다. 공동인증서와 간편 인증 등 전자서명인증서와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전자신분증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분증을 촬영한 사진과 신여권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신여권에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기재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신여권의 경우에도 정보 증명서가 있다면 신여권도 신분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애플리케이션 이용 시 방문 예정인 요양기관에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타인의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설치할 수 있는 문제가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앱 설치 시 타인이 받은 인증 번호를 자신의 휴대 전화에 입력하면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정부는 본인 휴대 전화로만 앱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한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여러 기기에 돌아가며 설치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할 방침입니다. 다만 이 같은 시스템 구축에는 약 한 달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됩니다.
미성년자와 같이 본인 확인이 어려운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처럼 주민등록번호를 제시하면 됩니다. 응급 상황인 환자, 한 요양기관에서 본인 확인 후 6개월 내 재진을 받는 경우, 진료 의뢰·회송의 경우, 요양원 입소자 중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경우에도 본인 확인 예외 대상입니다.
환자의 의식 불명, 거동 곤란 등 사유로 대리인이 대신 처방받는 경우에도 본인 확인 대상이 아닙니다.
신분 확인이 어려울 경우 건강보험 부담금 포함 진료비 전액을 내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후 신분증을 지참해 14일 안에 요양기관을 찾아가면 확인을 거쳐 건강보험이 적용된 금액으로 정산해 줍니다.
진료 시 신분증으로 환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요양기관에는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건강보험 자격을 대여해 주거나 대여를 받은 사람은 모두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25년 만에 아기 태어난 이곳…백일잔치로 '들썩'
- 2.5명이서 충분…AI가 바꾼 게임 개발
- 3.[단독] '라라스윗' 설탕 대신 대장균 득실…식약처 회수
- 4.국민연금 2천만원 받는다고 좋아했던 어르신 '울상'
- 5."장사할 맛 안 나요"…붕어빵 상인 '울상'
- 6.위기설 롯데, 그룹 상징 '월드타워' 담보로 내놨다
- 7."누가 나보고 손주나 돌보래?"…이런 분들 '시선 집중'
- 8.계속 "따르릉"…호가 6억 오른 분당 '들썩'
- 9.[오늘 날씨] 기온 '뚝'·오후부터 눈…아침 최저 -8~6도
- 10.인생 2막 준비?…'이 자격증' 따 놓으면 걱정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