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풍에 돛…KDI도 성장률 전망 올렸다
SBS Biz 최지수
입력2024.05.16 14:52
수정2024.05.16 18:31
[앵커]
우리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한국개발연구원, KDI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크게 올렸습니다.
최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KDI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올렸습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1.3% 기록하며 시장 예상을 웃돈 데 따라서입니다.
앞서 한국금융연구원이 2.5%로 0.4% 포인트 올리고, 무디스와 OECD가 각각 2.5%, 2.6%로 상향 조정한 것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김지연 /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 : 세계교역량 부진이 완화됨에 따라 우리 수출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 경상수지 흑자 확대 추세가 이어지고 있고 순대외자산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대외 건전성은 양호한 모습입니다.]
실제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13.8% 증가한 563억 달러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DI는 올해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석 달 전보다 0.1% 포인트 올린 2.6%로 내다봤습니다.
중동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상승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KDI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소비와 투자 부문에서 뚜렷한 회복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진단하며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김지연 /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 : 고금리 기조가 가계와 개인사업자 대출연체율을 상승시키는 등 내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수렴하는 상황에선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잇달아 개선되는 가운데 정부는 이르면 다음 달 이른바 '5·7·5 경제' 달성을 위한 '역동경제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우리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한국개발연구원, KDI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크게 올렸습니다.
최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KDI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올렸습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1.3% 기록하며 시장 예상을 웃돈 데 따라서입니다.
앞서 한국금융연구원이 2.5%로 0.4% 포인트 올리고, 무디스와 OECD가 각각 2.5%, 2.6%로 상향 조정한 것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김지연 /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 : 세계교역량 부진이 완화됨에 따라 우리 수출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 경상수지 흑자 확대 추세가 이어지고 있고 순대외자산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대외 건전성은 양호한 모습입니다.]
실제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13.8% 증가한 563억 달러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DI는 올해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석 달 전보다 0.1% 포인트 올린 2.6%로 내다봤습니다.
중동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상승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KDI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소비와 투자 부문에서 뚜렷한 회복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진단하며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김지연 /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 : 고금리 기조가 가계와 개인사업자 대출연체율을 상승시키는 등 내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수렴하는 상황에선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잇달아 개선되는 가운데 정부는 이르면 다음 달 이른바 '5·7·5 경제' 달성을 위한 '역동경제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SBS Biz 최지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3.'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4.[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5.병원비 급한데, 돈 없을 때 국민연금 급전 아시나요
- 6.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7.'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8.'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9.대학 합격했다고 좋아했는데…이 소식에 부모님 '한숨'
- 10.'1억? 우리는 1억에 4천 더'…저출산 영끌 대책 내놓은 이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