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상승기 양도세 강화 역설…공급위축, 집값 상승 가속화

SBS Biz 송태희
입력2024.05.13 08:51
수정2024.05.13 11:06


주택가격 상승기 양도세 강화는 매물을 감소시켜 오히려 주택 가격을 인상시킨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3일 국토연구원의 '부동산시장 정책에 대한 시장 참여자 정책 대응 행태 분석 및 평가방안 연구'를 보면 다주택자의 양도세율이 1% 증가하면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206% 증가하고, 취득세율이 1% 증가하면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34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1월~2022년 12월 수도권 71개 시군구 아파트 매매가격 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부는 보통 주택가격이 오를 때 다주택자 양도소득세율을 높이는 정책을 씁니다. 문재인 정부는 2020년 7·10 대책을 통해 다주택자 양도소득세율을 최고 70%, 취득세율은 12%, 종부세율은 6%로 높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행 소득세법의 양도세 기본세율은 6~45%지만, 2년 미만 단기 보유주택에 대해서는 70%(1년 이상~2년 미만) 또는 60%(1년 미만)를 부과하고 다주택자에게는 기본세율에 20%포인트(2주택), 또는 30%포인트(3주택 이상)를 더 매겨 중과합니다. 

윤석열 정부 들어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를 한시 배제하고 있으며, 배제 시한은 내년 5월까지입니다.'여소야대' 상황 속에서 법 개정 없이 시행령 개정만으로 가능한 양도세 중과 한시 배제라는 임시방편을 써온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연은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율이 증가할수록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매가 안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종부세가 부담돼도 양도세가 2억~3억 원이 되면 집주인들이 꿈쩍도 하지 않았고, 이에 따른 매물 위축으로 가격 상승이 가속화됐다는 것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송태희다른기사
어린이 기저귀 저출산 직격탄, 4년 전 대비 22% 감소
'月 천만원? 年 아니고?' 월세 1000만원 계약, 어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