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AI 인재 영입 박차 가하는 LG전자…조주완 "나보다 더 줄 수 있다"

SBS Biz 김동필
입력2024.05.12 15:37
수정2024.05.12 16:30

[LG전자 조주완 CEO 간담회 모습.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이 핵심 인재라면 사장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라면서 인재 영입에 대한 의지를 다잡았습니다.

조 사장은 현지 시간 11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습니다.

미국 서부지역 출장길에 오른 조 사장은 AI 전문 인재 확보 및 글로벌 투자자 기업 설명회, 마이크로소프트 CEO 서밋 등의 일정을 소화하며 사업 전 영역에 걸친 AI 가속화 전략 구상에 들어갑니다.

먼저 조 사장은 LG전자의 AI 인재 채용을 위해 열린 '테크 콘퍼런스' 참석차 실리콘밸리를 찾았습니다.

그는 "회사의 연구위원이나 임원급, 적어도 팀을 이끌 수 있는 리더급을 채용할 계획을 하고 있다"라면서 "최근 중요한 트렌드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 시큐리티(보안) 쪽 리더를 찾고 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올해 AI 인재 채용 규모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양적으로는 (AI 인재의) 진용을 갖췄다"라면서 "숫자만 늘려가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이제 질적인 중량급 인재들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성과급 성과 보상 체계인 제한조건부주식(RSU) 등의 도입도 시사했습니다.

그러면서 "AI 인재 영입을 위해 연봉을 100만 달러(약 13억 7천250만 원)도 줄 수 있다고 본다. 나보다 연봉을 더 많이 받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LG전자가 지난해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조 사장의 지난해 연봉은 23억 4천만 원입니다.

또 조 사장은 "LG전자도 AI 수혜주"라고 자신했습니다.

LG전자가 연간 판매하는 기기는 1억 대이며, 고객과 상호작용하며 확보해 온 사용 데이터가 7천억 시간에 이른다는 겁니다.

이 같은 제품과 데이터들이 AI를 고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조 사장은 "AI 반도체를 만들어야만 주목받고 잠재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부연했습니다.

LG전자는 MS와 AI를 활용한 업무 효율성 제고와 스마트 가전 개발을 위해 협업하고 있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는 확장 현실(XR) 헤드셋을 함께 개발 중입니다.

조 사장은 "과거에는 일방적으로 (빅테크에) 우리 제품을 사달라고 했다면 이제는 대등한 파트너로서 전략적인 얘기를 할 수 있는 관계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조 사장은 이날 행사를 시작으로 내일(13일)은 샌프란시스코 소재 글로벌 투자사 임원들을 만나 기업설명회를 주관합니다.

14일부터 16일에는 시애틀에서 MS가 주최하는 'AI 서밋'에 참석해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도 만날 예정입니다.

MS CEO 서밋은 글로벌 선도 기업 CEO와 관계자들이 교류하는 비공개 초청행사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동필다른기사
가상자산거래소 대표 부른 김주현 "자율규제·이상거래 감시 철저해야"
'기울어진 운동장' 해소 속도…공매도 규정 개정 의견수렴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