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도 '뚝딱…구글 AI '알파폴드3' 공개에 업계 '술렁'
SBS Biz 임선우
입력2024.05.09 04:02
수정2024.05.09 05:39

[구글 로고 (AP=연합뉴스 자료사진)]
구글의 인공지능(AI) 기업 딥마인드가 단백질 구조 예측 AI모델 '알파폴드' 최신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수 년씩 걸리는 신약 개발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과 함께 바이오업계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구글 딥마인드가 선보인 '알파폴드3'는 기존에 제공하던 인체 내 단백질 구조 예측을 넘어 모든 생물학적 분자 형태와 상호작용까지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세포는 단백질, 유전자(DNA) 등 수십억 개의 분자가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데, 알파폴드3는 생명체의 근간이 되는 거의 모든 생체 분자 구조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업계에선 알파폴드3가 신약 개발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신약 개발에서 ‘답안지’라고 할 수 있는 화학물질과 단백질의 결합 구조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큰 혁신”이라며 “기존 저분자화합물 신약 개발은 물론 희소유전병 치료에 쓰이는 첨단 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구글뿐 아니라 다른 빅테크도 앞다퉈 바이오 부문 AI 모델 기술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새로운 단백질을 생성하는 AI 모델인 ‘에보디프’를 오픈소스로 공개했고, 엔비디아도 AI 기반 신약 개발 클라우드 서비스 ‘바이오니모’를 개발해 운영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SKT, 오늘부터 유심 무상교체…헛걸음 안하려면
- 3.[단독] 카드, 캐피탈도 SKT 인증 중단…은행은 하세월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단독] 유심 무료 교체 앞두고 번호 이동 보조금 뿌린 SKT
- 6.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7.SKT 유심 교체가 근본 대책?…"재발시 무용지물"
- 8."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9.우리 애도 위고비?…비만약 판 커진다
- 10.'월세 내고 남는 게 없어도, 월세'…이유 물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