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172만원 준대서 개인정보 다 넣었더니"...내 정보만 꿀꺽?

SBS Biz 오수영
입력2024.05.01 17:56
수정2024.05.02 10:22

[앵커] 

모바일 금융앱 토스가 개인정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이번엔 세금 환급 서비스가 문제가 됐는데요. 

수십에서 수백만 원을 환급해 줄 것처럼 광고하고, 막상 개인정보를 다 넣으면 환급금이 없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수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주 토스앱에서 숨은 세금을 찾아가라는 알림을 받은 직장인 김 모 씨. 

추정 환급금이 172만 원이라는 안내에 세부 개인정보를 모두 입력했지만 환급금은 없었습니다. 

[김 모 씨(39세) / 서울시 개봉동 : 토스에서 이걸 하고 있기 때문에 믿음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큰 금액을 환급해 준다고 나와요. 실제로 조회해 보니까 0원으로 나와서 실망을 했죠. 현재는 (토스 정보제공 동의) 해지를 한 상태고 세이브잇으로 정보가 넘어간 건 동시에 탈퇴가 되진 않고요. 직접 들어가서 해지를 해야 돼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김 씨와 같이 토스가 세금 환급을 미끼로 정보만 털어갔다는 불만 사례가 적지 않았습니다. 

[이상진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 : 몇 퍼센트 환급받을 수 있다는 구체적인 정보 제공 없이 막연한 가능성만을 제시하여 접속을 유도하는 행위는 소비자 현혹으로 보입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입력한 정보가 앞으로 어떻게 쓰일지 소비자는 모른다는 점입니다. 

토스가 동의를 요구한 개인정보는 이름과 고객식별값, 전화번호, 생년월일 등인데 동의 과정에서 소비자는 토스의 세금환급 자회사 세이브잇과 토스 운영사에 이 정보를 넘기는 것도 동의했기 때문입니다. 

[홍기훈 /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 : 고객이 동의한 정보를 과도하게 사용한다거나 고객을 굉장히 공격적으로 모객 하면서 고객이 제공하길 원치 않았지만 자신도 모르게 동의한 정보를 활용하는 건 굉장히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영업한 세금 환급 플랫폼 삼쩜삼은 근거 없이 이용자들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집, 보관한 혐의로 과징금 제재를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토스 측은 최대 환급금으로 표기했어야 맞는데, 세이브잇 인수 완료 전이라 부족한 면이 있었다며 바로 수정에 들어갔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토스가 취득한 민감한 개인정보를 약속한 대로 보관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SBS Biz 오수영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수영다른기사
IPO 앞두고...케이·토스뱅크 혜택 줄이네?
'신한쏠가전 대출' 목돈 당장 없어도 삼성전자 가전제품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