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송금 비용·시간 단축…한은 "지급결제 개선 실험 추진"
SBS Biz 안지혜
입력2024.04.04 09:25
수정2024.04.04 09:27
우리나라가 미국·영국·일본 등 주요 기축통화국과 함께 디지털화폐로 해외 송금을 비롯한 국가 간 지급결제 거래가 가능한지 따져보는 국제 실험을 진행합니다.
한국은행은 3일 국제결제은행(BIS)과 기축통화국(미국·영국·일본·프랑스·스위스)·멕시코의 중앙은행, 국제금융협회(IIF)와 공동으로 '아고라(Agora)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토큰화'된 예금(tokenised commercial bank deposits)과 기관용 중앙은행 화폐(tokenised wholesale central bank money)를 활용해 통화시스템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는 국제 협력 사업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그동안 각국이 진행한 국내 사례 중심의 실험을 넘어, 예금 토큰과 CBDC로 해외 송금 등 국가 간 지급결제의 기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현재 국가 간 지급결제 시스템은 나라마다 법률과 규제, 기술 준수요건, 운영 시간대 등이 다른 데다 탈세·자금세탁 방지 절차가 여러번 반복적으로 이뤄지면서 비용이 많이 들고 속도도 느리다는 지적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현송 BIS 경제 보좌관 겸 조사국장은 "아고라 프로젝트를 통해 금융 무결성과 통화시스템 거버넌스를 위한 안전장치를 희생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은행과 은행 간 거래를 담당하는 중앙은행이 한 플랫폼에 참여해 토큰화된 예금과 CBDC를 사용하면, 토큰 프로그래밍을 통해 GPS(위성항법장치)상 세계 일정 지점을 교역품이 통과하는 동시에 일정 대금이 먼저 결제·송금되는 '스마트 계약'을 체결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참여와 관련해서는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새 스탠더드를 만드는 작업에 한국이 처음부터 참여한다는 점, 이를 통해 한국의 민간 기관이 새로운 사업 발굴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BIS가 기축통화국이 아닌 우리나라를 파트너로 선정한 데는 한은이 진행해온 토큰화 예금을 활용한 CBDC 연구·개발의 성과, 한국의 무역 규모나 IT(정보기술) 역량 등이 고려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2.'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3.[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4.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5.'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6.'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7.대학 합격했다고 좋아했는데…이 소식에 부모님 '한숨'
- 8.'1억? 우리는 1억에 4천 더'…저출산 영끌 대책 내놓은 이곳
- 9.'밥 짓는 대신 급하면 햇반 돌립니다'…결국은
- 10.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