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ETF 수익률 30% '껑충'…그나마 반도체·바이오 있었다
SBS Biz 지웅배
입력2024.03.29 17:49
수정2024.03.29 19:36

[앵커]
오늘로 평일 기준 2024년 1분기가 끝을 맺었습니다.
1분기 증시 상황을 보면 코스피는 3.4% 상승했지만, 연일 사상 최고치 소식이 들리는 해외 증시보다는 아쉬웠습니다.
그나마 반도체와 바이오 업종에서 몇몇 종목이 눈에 띄는데,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웅배 기자, 오늘(29일) 코스피 얼마나 올랐나요?
[기자]
코스피는 어제(28일)보다 0.03% 오른 2,746.6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로써 올해 들어 코스피는 지난해 말보다 3.4%가량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일본 닛케이 지수는 20.6%, 미국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10.2%, 9.1%씩 오른 것과 대조됩니다.
중국 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하면서 우리 증시도 힘이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런 와중에도 두각을 보인 업종들이 있었죠?
[기자]
그렇습니다, 반도체와 바이오가 눈에 띕니다.
우선 시총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가 8만2천원, SK하이닉스가 18만원을 넘기면서 반도체 강세를 입증했습니다.
또 고대역폭메모리 검사장비 기업 테크윙은 1분기에 200%대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장비기업 한미반도체와 전자재료 생산기업 덕산테코피아 역시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바이오 업종에서도 HLB테라퓨틱스와 한국비엔씨가 각각 200%대, 100%대로 올랐습니다.
이에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ACE AI반도체포커스,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등 상장지수펀드도 어제까지 30%대 수익률을 거뒀습니다.
[김록호 / 하나증권 연구원 : 챗GPT 이후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HBM(고대역폭메모리) 관련된 서플라이체인(공급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한 (거죠.) 살아있는 업황이니까 (2분기에 주가가) 조정받더라도 올라갈 수 (있다고 보여요.)]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실적이 바닥을 쳤던 바이오 업종 역시 하나둘 미국 진출 성과 등이 가시화되면서 주가 개선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SBS Biz 지웅배입니다.
오늘로 평일 기준 2024년 1분기가 끝을 맺었습니다.
1분기 증시 상황을 보면 코스피는 3.4% 상승했지만, 연일 사상 최고치 소식이 들리는 해외 증시보다는 아쉬웠습니다.
그나마 반도체와 바이오 업종에서 몇몇 종목이 눈에 띄는데,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웅배 기자, 오늘(29일) 코스피 얼마나 올랐나요?
[기자]
코스피는 어제(28일)보다 0.03% 오른 2,746.6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로써 올해 들어 코스피는 지난해 말보다 3.4%가량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일본 닛케이 지수는 20.6%, 미국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10.2%, 9.1%씩 오른 것과 대조됩니다.
중국 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하면서 우리 증시도 힘이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런 와중에도 두각을 보인 업종들이 있었죠?
[기자]
그렇습니다, 반도체와 바이오가 눈에 띕니다.
우선 시총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가 8만2천원, SK하이닉스가 18만원을 넘기면서 반도체 강세를 입증했습니다.
또 고대역폭메모리 검사장비 기업 테크윙은 1분기에 200%대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장비기업 한미반도체와 전자재료 생산기업 덕산테코피아 역시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바이오 업종에서도 HLB테라퓨틱스와 한국비엔씨가 각각 200%대, 100%대로 올랐습니다.
이에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ACE AI반도체포커스,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등 상장지수펀드도 어제까지 30%대 수익률을 거뒀습니다.
[김록호 / 하나증권 연구원 : 챗GPT 이후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HBM(고대역폭메모리) 관련된 서플라이체인(공급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한 (거죠.) 살아있는 업황이니까 (2분기에 주가가) 조정받더라도 올라갈 수 (있다고 보여요.)]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실적이 바닥을 쳤던 바이오 업종 역시 하나둘 미국 진출 성과 등이 가시화되면서 주가 개선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SBS Biz 지웅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SKT, 오늘부터 유심 무상교체…헛걸음 안하려면
- 3.[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4.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5.SKT 유심 교체가 근본 대책?…"재발시 무용지물"
- 6.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7."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8.우리 애도 위고비?…비만약 판 커진다
- 9.[단독] 카드, 캐피탈도 SKT 인증 중단…은행은 하세월
- 10.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