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1~2년 뒤 어디서 사나?…주거용 건축착공면적 서울-45.5%

SBS Biz 송태희
입력2024.03.22 11:55
수정2024.03.22 15:38

[연합뉴스 자료사진]

건축 착공 면적이 2년 연속 큰 폭으로 줄면서 지난해 착공 면적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2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건축 착공 면적은 지난 2022년보다 31.7% 감소한 7천568만㎡에 그쳤습니다. 지난 2022년에 전년 대비 18.1%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31.7% 줄면서 글로벌 금융위기로 착공이 급격히 위축됐던 2009년(7천125만㎡) 이후 가장 저조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27.5% 감소한 2천517만㎡로, 2010년(2천442만㎡) 이후 최저치였습니다. 공사비 갈등으로 주요 정비사업이 지체된 데다, 수요 부진으로 미분양 물량이 적체되면서 주택 분양이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45.5%)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23.4%, 지방에서 30.3% 각각 감소해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침체가 더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방 중에서도 세종과 대구의 착공 면적은 각각 90.2%, 86.6% 감소했고, 경남(-61.5%), 충남(-56.5%), 제주(-49.8%) 등도 착공 면적이 비교적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급등한 공사비, 금리 상승과 집값 하락,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주택 착공이 줄어든 데다, 전반적으로 경기가 좋지 않아 상업용 및 공업용 건축 착공도 함께 위축된 것이 착공실적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송태희다른기사
노소영, 이혼소송 상고 포기…대법, 최태원 상고만 판단
'먹고 살기 힘들다' 라이더·점주, 배민 하루 보이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