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급매물 다 빠졌다?...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늘었다

SBS Biz 신다미
입력2024.03.11 11:04
수정2024.03.11 14:08

연초 회복세를 보인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이 다시 주춤하며 지난달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지난해 말부터 저가매물이 소진된 영향으로 상승거래 비중은 하락거래와 비교해 소폭 증가했습니다.

직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매매 거래량은 1천428건(계약일 기준)으로 전달(2천518건)보다 1천여건 감소했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반등했던 거래량은 한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다만 지난달 상승 거래 비중은 43%로, 전달(39%)보다 소폭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하락 거래 비중은 44%에서 39%로 줄어들었습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권의 하락 거래 비중이 43%로 전달보다 6%포인트 줄었습니다.

지난 1월 저가 매물이 소진된 이후 매매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가며 보합 거래가 늘어난 영향으로 직방은 해석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말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과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의 하락 거래 비중도 줄었습니다.

마용성의 하락 거래 비중은 지난해 12월 56%였으나, 지난 1월 41%, 지난달 33%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노도강도 지난해 12월 51%에서 지난 1월 46%, 지난달 42%로 하락 거래 비중이 감소세입니다.

저가 급매물 소진 후 가격 하방 압력을 견딜만한 매물만 남아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는 지난달 하락 거래 비중이 전달(45%)보다 높은 49%로 집계됐습니다.

직방은 서울 전체적으로 하락 거래 비중이 줄고, 상승 거래가 증가한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습니다.

다만 지역별로 저가 매물 소진 이후 숨 고르기 양상이 나타나고, 일부 지역은 여전히 저가 매물이 거래 시장을 주도하는 경향이 나타나 시장 회복으로 해석하기는 역부족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직방은 "지난달부터 은행들이 금리 인상에 대비해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능력을 따지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적용하면서 대출 문턱이 다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내달 총선 이후 정부 정책의 전환 가능성도 있어 당분간 부동산 시장이 횡보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신다미다른기사
수도권 주말 이틀간 120㎜ 쏟아진다…다음주 장맛비 '오락가락'
"3분기 낸드 가격 5∼10% 상승…전분기 보다 둔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