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초전도체" VS. "검증 거쳐야"…LK-99 후속 'PCPOSOS' 美학회서 발표
SBS Biz 송태희
입력2024.03.05 08:25
수정2024.03.05 09:56

[미국물리학회에서 PCPOSOS 연구 발표하는 김현탁 연구교수 (엑스(옛 트위터) 갈무리=연합뉴스)]
상온·상압 초전도체 'LK-99'를 만들었다고 주장한 국내 연구자들이 다른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새롭게 개발했다며 관련 연구 결과를 해외 학회에서 공개했습니다. 과학계에서는공신력 있는 검증을 거쳐야 이들의 주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다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5일 엑스(X·옛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SNS) 따르면 LK-99 연구에 이름을 올렸던 김현탁 미국 윌리엄앤드메리대 연구교수는 현지 시각 4일 오전 8시 12분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APS) 3월 학회 초전도체 세션에서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주장하는 물질 'PCPOSOS'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발표는 앞서 초록에서 공개한 대로 PCPOSOS라는 물질이 제로 저항, 마이스너 효과(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에 반발하는 현상), 자석 위에서의 부분 부상 등 초전도체 특성을 나타냈다는 주장이 담겼습니다. 김 교수는 특정 상황에서는 샘플이 자석 위에서 완전히 뜨는 공중부양을 보이기도 했다며 1천600배 확대한 사진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김 교수는 또 공중부양 영상 촬영과 제로 저항 실험 등이 'SCTL'이라는 다른 연구실에서 진행됐다고 발표하며 다른 곳에서도 재현 결과가 나왔다는 걸 강조했습니다. 다만 제로 저항 데이터는 앞서 LK-99와 마찬가지로 잡음 신호가 커 명확히 알아보기 어려웠고, 검증 기관으로 소개한 SCTL이 어떤 곳인지에 대해서도 별다른 설명이 없었습니다.
발표 현장에서는 인파가 몰렸습니다. 방청을 원한 일부는 발표장 내부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였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김 교수의 강연 이후 같은 세션에서 미국 휴스턴대 연구팀은 LK-99 재현 결과 보이는 특이한 현상들이 황화구리 불순물의 구조적 전이와 관련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국내 전문가들은 이번 학회 발표가 학술적으로 발표 내용을 인정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학술대회 발표는 일정한 요건만 갖추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으로 학회에서 그 내용을 인정했다거나 승인 절차를 밟았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진짜 전기요금 적게 나온다'…에어컨 요금 아끼는 법
- 2.무주택자만 신났다…올림픽파크포레온 줍줍 나온다
- 3.[단독] '고3 국민연금 자동 가입' 급물살 탄다…與, 대표 발의
- 4.[단독] 은행서 손바닥 등록했어도 공항선 ‘X’…확인하세요
- 5."월 70만원 5년 납입땐 5천만원"…청년들 이건 꼭 드세요
- 6.'20억 집 살면서 통장에 월 360만원 꽂힌다'
- 7.삼성디스플레이, 전 직원에 신제품 '갤Z플립7' 지급
- 8.왜 영끌해서 강남3구 가냐구?...이런 이유로 간다
- 9.'내 집 살면서 月 200만원 꽂히는데'…자식이 발목?
- 10.5천원도 비싸다…치킨 한마리 3500원이라니 '어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