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홍해 불안에 수출 '경고등'…정부 '컨틴전시 플랜' 가동

SBS Biz 안지혜
입력2024.03.02 09:19
수정2024.03.02 20:46

[1일 오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가 분주한 모습. (사진=연합뉴스)]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의 위협으로 홍해 무역 항로에서 불안이 지속되자 정부가 수출 기업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을 가동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주재한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비상 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오늘(2일) 밝혔습니다.

산업부에 따르면 현재 수출품의 선적과 인도, 국내·외 생산, 에너지 도입 등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송 기간이 기존보다 10일가량 지연되는 것을 비롯해 운임 상승, 선복 부족 등을 호소하는 수출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한국무역협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홍해 사태 등으로 물류 애로를 겪고 있다고 답한 수출입 기업은 74.6%에 달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컨틴전시 플랜에서 글로벌 운임 수준에 따라 3단계로 대응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해상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2천∼2천700포인트인 경우 1단계를 적용해 수출 기업에 물류비, 선복, 유동성 등 지원을 강화합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1천포인트 수준이던 SCFI는 최근 2천100포인트 안팎까지 올랐고, 이에 정부는 현재 1단계 지원책을 시행 중입니다.

1단계에서 정부는 미주·유럽 등 공동물류센터를 긴급 지원하고, 수출 바우처를 통한 물류비 지원 한도를 기존 2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확대하는 등 지원을 강화합니다.

SCFI가 2천700∼3천900포인트로 오르면 2단계를 적용합니다.

2단계에서는 하반기분으로 배정된 31억원 규모의 수출 바우처를 조기 집행하고, 물류 차질 기업에 대한 보험금 지급 기한을 기존 2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하는 등 유동성 지원에 나섭니다. 단기 수출보험 만기 연장 등 특별지원도 가동합니다.

SCFI가 3천900포인트를 뛰어넘는 경우는 3단계 조치로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추가로 물류비 확대 지원 방안을 마련합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출 기업의 애로를 최대한 해소하기 위해 기업별 상황에 맞게 선복과 물류비 등 지원에 나서고 있다"며 "정책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단계적 지원 계획을 뛰어넘어 신속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안지혜다른기사
하반기도 金사과 대란? 사과밭 더 작아졌다
올해 보리·밀 등 재배면적 11% 줄어…파종기 가격 약세 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