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버티겠네" 어음부도율 22년만에 최고…경매도 급증
SBS Biz 김기호
입력2024.01.29 11:20
수정2024.01.29 16:13

[앵커]
은행을 통하지 않은 각종 거래에서도 위험 신호가 속출했습니다.
지난해 기업들의 어음부도율이 급등하는가 하면, 경매에 등장한 부동산도 크게 늘었습니다.
김기호 기자, 먼저 어음부도율, 얼마나 올랐나요?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들의 어음부도율은 0.23%까지 올랐습니다.
1년 전의 두 배가 넘는 수치로 지난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금액으로 보면, 5조3천억원 넘는 어음이 부도가 났는데 전년보다 2.4배 급증한 규모로 지난 2014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큰 액수입니다.
벼랑 끝에 몰린 기업들의 위기 상황은 다른 지표에서도 확인되는데요.
전체 은행권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0.6%로, 1년 전의 두 배로 상승했고요.
아예 문을 닫는 업체들도 속출하면서 법원의 파산 사건 접수건수도 1천600건을 넘겨, 65%나 급증했습니다.
[앵커]
기업들 상황도 심각하지만, 이른바 '영끌족'들의 어려움도 큰데요.
빚을 못 갚아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크게 늘었다고요?
[기자]
법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토지와 건물, 아파트 등 임의경매 신청건수는 10만5천건을 넘겼습니다.
이 수치가 10만건을 웃돈 건 지난 2014년 이후 9년 만인데요.
1년 전과 비교하면 60% 넘게 늘었습니다.
임의경매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할 경우 경매로 넘어가는 절차인데요.
통상 은행이 채권자일 때 활용됩니다.
특히 눈에 띄는 건, 아파트와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등 집합건물의 임의경매가 많았다는 건데요.
4만건에 육박하면서 전년대비 62%나 급증했습니다.
무리하게 대출을 받은 '영끌족'들이 고금리를 버티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간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SBS Biz 김기호입니다.
은행을 통하지 않은 각종 거래에서도 위험 신호가 속출했습니다.
지난해 기업들의 어음부도율이 급등하는가 하면, 경매에 등장한 부동산도 크게 늘었습니다.
김기호 기자, 먼저 어음부도율, 얼마나 올랐나요?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들의 어음부도율은 0.23%까지 올랐습니다.
1년 전의 두 배가 넘는 수치로 지난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금액으로 보면, 5조3천억원 넘는 어음이 부도가 났는데 전년보다 2.4배 급증한 규모로 지난 2014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큰 액수입니다.
벼랑 끝에 몰린 기업들의 위기 상황은 다른 지표에서도 확인되는데요.
전체 은행권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0.6%로, 1년 전의 두 배로 상승했고요.
아예 문을 닫는 업체들도 속출하면서 법원의 파산 사건 접수건수도 1천600건을 넘겨, 65%나 급증했습니다.
[앵커]
기업들 상황도 심각하지만, 이른바 '영끌족'들의 어려움도 큰데요.
빚을 못 갚아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크게 늘었다고요?
[기자]
법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토지와 건물, 아파트 등 임의경매 신청건수는 10만5천건을 넘겼습니다.
이 수치가 10만건을 웃돈 건 지난 2014년 이후 9년 만인데요.
1년 전과 비교하면 60% 넘게 늘었습니다.
임의경매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할 경우 경매로 넘어가는 절차인데요.
통상 은행이 채권자일 때 활용됩니다.
특히 눈에 띄는 건, 아파트와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등 집합건물의 임의경매가 많았다는 건데요.
4만건에 육박하면서 전년대비 62%나 급증했습니다.
무리하게 대출을 받은 '영끌족'들이 고금리를 버티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간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SBS Biz 김기호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3.'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4.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5.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6."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7.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
- 8."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9.'비닐만 벗긴 갤럭시, 최대 64만원 싸게 사세요'
- 10.'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