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주4일제 고민 시대…시차출퇴근·선택근무 '생산적'

SBS Biz 김기송
입력2024.01.28 09:04
수정2024.01.28 19:19

시차출퇴근이나 선택근무제 등과 같은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본 직장인들의 다수는 일반적인 근무형태 때보다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8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22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각 제도에 대한 생각을 묻자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원격근무제, 재택근무제 순으로 생산성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습니다.

시차출퇴근제는 근로자의 필요에 따라 출퇴근 시간을 조절해 유연한 시간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제도이며, 선택근무제는 1개월의 주 평균 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1주 또는 1일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원격근무제는 원격근무용 사무실이나 혹은 사무실이 아닌 장소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근무하는 제도를 가리킵니다.

조사 결과 시차출퇴근 경험자의 53.1%는 이 제도가 일반 근무 형태보다 '더 생산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차이가 없다'는 응답은 40.8%였고, '생산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6.1%였습니다.

선택근무제에 대해선 41.8%가, 원격근무제는 34.7%가 일반 형태보다 더 생산적이라고 답했고, 차이가 없다는 응답은 각각 37.2%, 45.7%였습니다. 생산적이지 않다는 의견은 20%가량이었습니다.

재택근무제의 경우 생산성에 차이가 없다는 응답이 45.2%였고, 4가지 제도 중 유일하게 일반 근무 대비 생산적이지 않다(29.1%)는 의견이 더 생산적(25.7%)이라는 의견보다 많았습니다.

유연근로제는 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을 향상시키는 제도로 알려져 있는데, 생산성에 있어서도 대체로 일반 근무형태보다 떨어지지 않는다고 근로자들은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겁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평가에 비해 활용 기회는 아직 매우 적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도 다니는 직장에서 코로나19로 최근 1년간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는 응답(3.2%)과 원래 유연근무제가 있었다는 응답(5.6%)을 합쳐 8.8%만이 유연근로제가 있는 회사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보고서는 유연근무제에 대한 근로자들의 평가가 담긴 이번 조사 결과가 "포스트 코로나19 시기에 보다 생산적이면서 일·생활 균형에 도움이 되는 근로제도 마련 시에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기송다른기사
센서 빛으로 땀 속 포도당 측정한다
한미 3인연합 "머크식 전문경영인 체제 도입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