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악몽이 현실로 홍콩 ELS…'내 노후자금 반토막?'

SBS Biz 김성훈
입력2024.01.14 08:43
수정2024.01.14 17:22

주요 시중은행이 판매한 홍콩 H 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에서 불과 최근 닷새 만에 1천억원이 넘는 원금 손실이 확정됐습니다.

H 지수가 이례적으로 폭등하지 않는 한 손실 규모는 올 상반기에만 5조원대까지 불어날 수 있습니다.
 
오늘(14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판매된 홍콩H지수 기초 ELS 상품에서 올 들어 12일까지 1천67억원의 원금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8일부터 첫 손실 확정이 이뤄진 만큼, 이후 12일까지 불과 닷새 만에 손실이 1천억원을 넘은 셈입니다.

이 기간 만기 도래한 원금은 약 2천105억원이며, 1천38억원만 상환된 만큼 전체 손실률은 50.7%(손실액 1천6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만기 일자마다 다르지만, 일부 상품에서는 최고 52.1% 손실률도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확정된 손실액 82억원까지 더하면, 홍콩H지수 ELS 관련 원금 손실액은 5대 은행에서만 6개월여 사이 1천149억원에 이릅니다. 

ELS는 기초자산으로 삼은 지수 등에 연계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데, 통상 6개월마다 기초자산 가격을 평가해 조기상환 기회를 주고, 만기 시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준을 밑돌면 통상 하락률만큼 원금 손실이 발생합니다.

홍콩 H지수 기초 ELS에서 원금 손실이 잇따르는 이유는 상품이 판매된 2021년 이후 홍콩H지수가 반토막 났기 때문입니다.

홍콩 H지수는 지난 2021년 2월 1만2000선을 넘어섰으나 그 해 말 8000대까지 떨어진 뒤 현재 5000선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앞으로 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더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홍콩H지수가 고점이던 2021년 판매된 상품들의 만기가 올해부터 속속 돌아올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기준 홍콩H지수 기초 ELS 총판매 잔액이 19조3천억원으로 전체 잔액의 79.6%인 15조4천억원의 만기가 올해 돌아옵니다.
 
분기별로는 올해 1분기 3조9천억원, 2분기 6조3천억원으로 올해 상반기 10조2천억원에 만기가 집중돼있습니다.

상품마다 다르지만 통상 '녹인(knock-in)'형은 녹인 발생시 최종 상환 기준선(통상 70%), 녹인 미발생 시 녹인기준(통상 50%)을 넘어야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노 녹인(No Knock-in)형'은 65% 정도가 수익상환 기준선입니다.

결국 올해 상반기 홍콩H지수가 2021년 상반기의 65∼70% 수준은 돼야 원금손실을 피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지난 2021년 상반기 홍콩H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대략 1만340∼1만2229 범위에서 움직였고 현재 5000선에서 등락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홍콩H지수가 큰 폭으로 반등하지 않는 한 원금 손실이 불가피합니다.

상반기에도 현재 홍콩H지수 수준이 계속된다고 가정하면, 5대 은행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관련 ELS의 원금 손실 규모는 5조원을 넘어설 수도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홍콩 H지수 기초 ELS 주요 판매사 12곳(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KB·NH·키움·신한투자증권)에 대해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불완전 판매 여부 등을 파악할 방침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성훈다른기사
국민銀, 주담대·퇴직연금 모바일 화상상담 지원
우리銀, 네이버와 '금융·게임 엔터테인먼트'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