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늙어가는 韓 공장…MZ '월급 많이 줘도 공장은 글쎄'

SBS Biz 윤진섭
입력2024.01.14 08:17
수정2024.01.14 20:09


제조업 취업자의 연령대가 빠르게 높아지면서 노년층 취업자 수가 60만명에 육박해 처음으로 청년층을 넘어섰습니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60세 이상은 전년보다 5만1천명 늘어난 59만9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대 이하는 전년보다 3만3천명 줄어든 55만5천명으로 나타나, 60세 이상보다 4만4천명 적었습니다.

제조업에서 60세 이상 취업자가 10∼20대보다 많은 건 2014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작년이 처음입니다.

최근 9년 새 연령대별 변화를 살펴보면 50대를 기점으로 양분돼 50대 이상은 늘어나지만 40대 이하는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2014년 23만1천명에서 작년 59만9천명으로 36만8천명 급증했습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5.2%에서 2021년 10%를 넘더니 지난해는 13.4%로 나타났습니다.

인구 고령화, 퇴직하지 않고 계속 일하려는 욕구 등으로 일하는 노년층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젊은 층의 제조업 현장 기피 현상으로 신규 직원 채용이 어려워지면서 기존에 일하던 근로자가 고령층이 되어 계속 일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다양한 제조업 분야 가운데 60세 이상은 주로 식료품 제조업이나 기타 기계·장비, 금속 가공제품 등에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50대도 2014년 103만6천명에서 작년 108만4천명으로 4만8천명 늘었습니다.

경제 주축이 되는 30대와 40대는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가장 많이 줄어든 연령대는 30대입니다. 30대는 2014년 124만7천명에서 작년 105만7천명으로 19만명 감소했습니다. 40대도 9년 새 15만4천명 줄어 작년 116만5천명을 기록했습니다.

20대 이하는 2014년 62만5천명에서 작년 55만5천명으로 7만명 감소했습니다. 

오랜 기간 청년 최다 취업 업종으로 꼽혔던 제조업은 청년의 제조업 기피 현상, 고졸 취업 청년의 감소 등으로 취업자가 줄고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윤진섭다른기사
이대호 "현진이는 내가 키웠다(?)"…애정 과시
삼양식품 잇는 차기 주도주는?...백발백중 필살기에서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