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한껏 몸 낮췄지만…4대 금융, 올해도 ‘돈 잔치’

SBS Biz 오서영
입력2024.01.02 08:36
수정2024.01.02 13:25


4대 금융지주가 올해 또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나왔습니다.

오늘(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연간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17조2천316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순익 추정치 16조5천510억 원보다 4.1% 더 늘어난 수치입니다.

올해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은행 이자이익의 대폭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가운데서도 전체적으로는 별다른 이익 변동 없이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핵심 자회사인 은행만 놓고 보면 순이자마진(NIM)이 소폭 축소되더라도 가계·기업대출 잔액 증가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이 함께 나옵니다. 또 2조원에 달하는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에 따른 비용 증가가 실적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평가도 나옵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상생 금융으로 인해 은행업 투자 심리가 좋지 않지만, 이 또한 지나가리라고 본다"며 "총선 이후에는 비난 여론이 일부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증권사들은 금융지주별로 KB금융의 순익이 5조1천968억원으로 3.1%, 신한금융의 순익이 4조9천219억원으로 3.8% 각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아울러 하나금융이 3조9천433억원, 우리금융이 3조1천696억원의 순익을 거둬 각각 4.5%, 5.7%의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증권, 보험 등 비은행 자회사들의 이익 기여도 변수로 꼽힙니다.

KB증권은 올해 전망 보고서에서 "금융지주들의 은행 자회사 이익은 3.4%, 비은행 자회사 이익은 15.2% 증가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다만, 금융지주들은 '이자 장사'에 대한 세간의 부정적인 시선을 의식한 듯 올해 경영 여건이 지난해보다 악화할 것이라며 몸을 낮추는 분위기입니다.

일선에선 실제 글로벌 경기 둔화와 거시경제 불확실성 등 복합 위기가 만만치 않다고 입을 모읍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라든지 건설사 우발 채무가 현실화하면 은행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증권사, 저축은행, 캐피탈 등의 리스크 노출을 고려할 때 지주 차원에서는 올해 경영 목표를 지난해보다 현저히 낮게 설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서영다른기사
윤종규 전 KB금융 회장, 반년 만에 지주 고문 됐다
'IPO 재도전' 케이뱅크,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