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배달비도 올랐다…중국집 등 최대 7천원 받는 곳도
SBS Biz 박규준
입력2023.12.29 11:15
수정2023.12.29 11:53

[앵커]
음식 배달비가 지난해보다 4%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즘 배달 앱을 보면 5천원을 훌쩍 넘는 배달비도 많죠.
이런 배달비 물가를 모아 통계청이 처음으로 지수를 공개한 건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박규준 기자, 배달비 부담 어느 정도 늘었나요?
[기자]
이번 달 외식배달비 지수는 104.3으로 작년 동월 대비 4.3% 올랐습니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은 이달 배달비지수가 4.6% 올라 비수도권 3.9% 대비 배달비 부담이 더 컸습니다.
외식배달비 지수는 매장가격과 배달가격 차이를 '배달비'로 규정하고, 가중치를 반영해 산정됐는데요.
아직은 실험적 통계인 외식배달비 지수는 통계청이 처음 발표한 것으로 할증비를 제외한 기본 배달비만 반영됐습니다.
[앵커]
액수로 따져 보면 어땠나요?
[기자]
천 원 단위 기준으로, 3천 원대가 전체 배달의 47%로 가장 많았습니다.
10건 중 3건(30.9%)은 배달비 2천 원대, 10건 중 1건(11.3%)은 4천 원대였습니다.
중식, 일식 등 외국식은 최대 7천 원까지 배달비를 받는 곳이 있었고, 커피, 음료는 최대 4500원으로 비교적 배달비가 낮았습니다.
통계청은 향후 배달지지수에 최소할증비 등을 반영하고, 2025년 기준 소비자물가 개편 시 신규품목으로 선정한다는 계획입니다.
SBS Biz 박규준입니다.
음식 배달비가 지난해보다 4%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즘 배달 앱을 보면 5천원을 훌쩍 넘는 배달비도 많죠.
이런 배달비 물가를 모아 통계청이 처음으로 지수를 공개한 건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박규준 기자, 배달비 부담 어느 정도 늘었나요?
[기자]
이번 달 외식배달비 지수는 104.3으로 작년 동월 대비 4.3% 올랐습니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은 이달 배달비지수가 4.6% 올라 비수도권 3.9% 대비 배달비 부담이 더 컸습니다.
외식배달비 지수는 매장가격과 배달가격 차이를 '배달비'로 규정하고, 가중치를 반영해 산정됐는데요.
아직은 실험적 통계인 외식배달비 지수는 통계청이 처음 발표한 것으로 할증비를 제외한 기본 배달비만 반영됐습니다.
[앵커]
액수로 따져 보면 어땠나요?
[기자]
천 원 단위 기준으로, 3천 원대가 전체 배달의 47%로 가장 많았습니다.
10건 중 3건(30.9%)은 배달비 2천 원대, 10건 중 1건(11.3%)은 4천 원대였습니다.
중식, 일식 등 외국식은 최대 7천 원까지 배달비를 받는 곳이 있었고, 커피, 음료는 최대 4500원으로 비교적 배달비가 낮았습니다.
통계청은 향후 배달지지수에 최소할증비 등을 반영하고, 2025년 기준 소비자물가 개편 시 신규품목으로 선정한다는 계획입니다.
SBS Biz 박규준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돈 얼마나 많길래'…250억원 현금으로 아파트 '척척'
- 2.'이러니 해외 가지'…강원 펜션 1박에 140만원 바가지
- 3.연 48만원 더 받는다는데…몰라서 못 타먹는 '가족연금'
- 4.국민연금 많이 받는다 좋아했는데…건보료 날벼락?
- 5.'신의 커피'라더니 '1㎏에 4천200만원'…무슨 커피지?
- 6.현금 12억 없으면 '그림의 떡'…"현금부자만 신났다"
- 7.'일 안하면 생활이 안되는데'…일하는 어르신 1000만명 시대
- 8.쥐꼬리 국민연금 한숨...'이거' 일찍 가입하면 1500만원 더 번다?
- 9."이럴 거면 예약 안 했죠"...제주 렌터카 뒷통수
- 10.月 745만원 벌고도 기초연금 따박따박…'꼬박 꼬박 국민연금 낸 우린 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