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하우머니] 집값 떨어졌다는데…내가 보는 집만 비싼 이유

SBS Biz 김경화
입력2023.12.08 07:48
수정2023.12.18 10:29

■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하우머니' -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

#1. 물 건너간 '실거주 의무 폐지'

Q. 입주를 앞둔 실수요자들 궁금해할 실거주 의무 폐지 얘기 잠깐 해볼게요. 국회 통과가 더 어려워졌다는데 무슨 얘기입니까?


- 사실상 불발된 '실거주 의무 폐지' 시장 영향은?
- 분상제 적용 아파트 '실거주 의무 폐지' 폐기 수순
- 국토위 법안소위 논의 불발…믿었던 4.8만 가구 '혼돈'
- 지난 4월 전매제한 완화…실거주 의무 유지에 발목
- 국토부 '실거주 의무 폐지' 공언…"설익은 정책" 비판
- 야당, '갭투자' 등 이유 실거주 의무 폐지 거센 반대
- 실거주 의무 시 전매제한 이후 분양권 거래 불가능
- 적용 단지 '전전긍긍'…실수요자들 "투기세력과 묶여"
- 자금 부족·자녀 학교·직장 등에 입주 불가 '수두룩'
- 온라인 커뮤니티 '법망 회피' 글도…이면계약도 거론
- 실거주 기간 반드시 채워야…분양권 거래 자체 불법
- 전문가들 "실거주 의무 유지시 최근 거래절벽 심화"
- 여야 이달 임시국회 개최 합의…합의 가능성 낮아

#2. 팔리지 않는 집

Q. 집값 추이 살펴보겠습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 분위기가 짙어지는 모습입니다. 강남권마저도 하락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는데요. 최근 부동산 분위기 어떻습니까?


- 강남마저도 하락 거래…아파트값 추이는?
- 한동안 '반등세' 부동산 경기…다시 하락세 전환
- 주택시장 또다시 '냉골'…서울 아파트값도 하락 전환
- 강남·마포도 하락세…용산·강동은 상승 폭 축소
- 부동산원 "주택시장 불확실성 등에 매수관망세 확대"
- 서울 중심부도 '꽁꽁'…강남권 아파트도 하락 거래
- 지난 9월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종료…고금리 영향
- 전문가들 "부동산 시장 위축, 내년 상반기까지 갈 것"
- 지난 10월 압구정 '현대1차' 196㎡ 직전比 11억↓
- 수억씩 떨어지는 강남 집값…아파트 거래절벽 심화

Q. 집값 하락세에도 집값 급등을 불렀던 교통 호재도 영 맥을 못 추는 모습입니다. 정부가 GTX 노선 개통이 속도를 내면서 해당 지역들 기대감이 고조됐는데 그 분위기가 오래가지 못하는 것 같아요?

- GTX 호재도 '멈춤'…2차 폭락기 오나?
- GTX도 '무용지물'…추락하는 동탄·송도 아파트값
- '상승세' GTX 수혜지역…최근 아파트값 하락 현상
- 고금리·경기 침체 부동산 시장 조정국면 진입 분석
- GTX-A노선 운정신도시→서울역→삼성역→동탄 연결
- 수서~동탄 구간 주요 공사 완료…내년 3월 개통 예정
- 동탄역, GTX-A  종착지…동탄 아파트 한 달 새 5억↓
- GTX-B 노선 예정된 송도국제도시도 아파트값 하락세
- 국토부, GTX-D·E·F 노선 신설안 빠르면 올해 발표
- 전문가들 "부동산 시장 살아야 교통 호재도 반영"
- 경기 침체·고금리로 금융비용 부담…매수심리 위축

Q. 가계대출 폭증에 정부가 은행권 압박에 나섰습니다. 시중 은행들이 결국 대출 조이기에 나섰는데요. 부동산 거래 절벽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 대출 조이기라는 말이 나와요?

- 가계대출 폭증에 은행권 압박…거래절벽 심화?
- 거래량 줄며 부동산 시장 침체…원정 매입 1년래 최저
- 급매 소화·집값 고점 인식에 부담 심리 작용하며 관망
- 9월 말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출 중단 매매에 영향
- 특례보금자리론, DSR 미적용 무주택자·갈아타기 '인기'
- 10월 타지역 거주자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21.3%
- 특례보금자리론 등 대출 축소…고금리 상황 장기화

#3. 계속 오르는 전세

Q. 임대시장 살펴보시죠. 매매는 멈췄지만, 전월세 시장은 요즘 아주 뜨겁습니다. 매매를 포기한 수요자들이 전세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말이 나와요?

- 집값 주춤하는 사이 전셋값↑…세입자 어쩌나?
-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0.07%↑…20주째 상승세 지속
- 서울 전세시장, 매수심리 위축에 매매수요 전세 유입
- 서울 아파트 매맷값 하락에도 전세 상승…매매 포기↑
- 고금리에 매매 침체 장기화 조짐…관망하며 전세로
- 11월 서울 아파트 전세거래 8816…전달 75% 수준
- 비아파트 중심 전세 사기 불안↑…아파트로 수요 이동
- 잠실엘스 59㎡ 전세, 지난 2월 7.5억→이달 10억 계약
- 강남권 전셋값 수억 상승…저렴한 전세매물 빠른 소진
- 세입자 경기 침체에 이사 꺼려…"전세 매물 자체 적어"
-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5만 7,266건…전년比 31% 감소

Q. 문제는 내년입니다. 입주 물량이 뚝 떨어지는 데다 고금리 상황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전셋값이 더욱 오를 거라는 전망이 점점 확대되고 있어요?

- 내년 입주 물량 '뚝'…내년 전셋값 전망은?
- 인허가·착공 감소에 내년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급감
- 2025년 전국 아파트 예상 입주 물량 24만 1,785가구
- 수도권 입주 물량 심각…인천, 2년 후 올해 절반 수준
- 경기 2025년 입주 물량 6만 5,367가구…올해比 42%↓
-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올해 3분의 1 수준 예상
- 지난해부터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신규 분양 감소
- 입주 물량 급감에 치솟는 청약 경쟁률…전셋값 상승
- 통상 입주 물량 중 30% 전·월세로…임대 안정 핵심
- 공급 우려에 주거 불안 가중…"내 집 마련 언제쯤"
- 올 8월까지 인허가 37.6%·착공 실적 69.3% 감소
- 전문가들 "꾸준한 주택 공급 위해 정부 대책 필요"

#4. 청약 시장

Q. 고공행진하던 청약 경쟁률이 다소 식고 있다고 합니다. 지방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요?


- 고공행진 하던 청약 경쟁률, 지방부터 '싸늘'?
- 빠르게 식는 지방 청약시장…등 돌리는 실수요자
- 수도권, 경쟁력 있는 단지 위주 경쟁률 '고공행진'
- 전북 '임실 고운라피네' 129가구 모집에 7명 청약
- 경남 거제 '오션 월드메르디앙' 220가구에 10명 청약
- 파주운정신도시 '우미린 더 센텀' 평균 108.8대 1
- 수도권-지방 청약 온도 차 극심…지방부터 심리 '뚝'
-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1만 224가구 집계
- 수도권 미분양 주택 전월比 6.4%↑…지방 7.7%↑
- 최근 분양가 상승에 집값↑…지방 부진 지속 전망

Q. 서울은 경쟁력 있는 단지 위주로 열기가 뜨겁습니다. 이번 주 마포 프루지오 어반피스 1순위 청약이 있었는데요. 높은 분양가에도 경쟁률이 높습니다. 특히 소형 분위기가 좋네요?

- 서울 청약시장 여전히 '후끈'…분위기는?
- '마포 푸르지오어반피스' 1순위 청약 높은 경쟁률 기록
- 64가구 1순위 청약 3,588건 접수…평균 경쟁률 56대 1
- '최대 경쟁률' 59㎡ 4가구 모집에 634명…158.5대 1
- 높은 분양가에 흥행 전망 엇갈려…84㎡ 16억 '훌쩍'
- 고분양가에도 주변시세比 저렴…'더블 역세권' 영향도
- 청약시장 "분양가의 상대적인 수준 따라 흥행 판가름"

Q. 1~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소형 인기가 더욱 이어질 거라는데요. 그런데 너무 비싸더라고요?

- 1~2인 가구 늘며 소형 '인기'…소형주택 추이는?
- '나 혼자 산다' 최근 보편적 주거형태 1인 가구로 급변
- 1인 가구 규모 증가세…현재 소형주택 공급 상황 부족
- 소형주택, 매매차익 아닌 임대차익 목적…세금 부담↑
- 오피스텔 등 종부세·재산세·양도세 등 다주택 중과 대상
- 향후 주택·임대 가격 상승 시 1인 가구 주거 불안 우려
- 주산연 "소형 아파트, 오피스텔 등 공급확대 대책 시급"
- 소형주택 인기에 서울 강북 중소형 분양가 10억 '훌쩍'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경화다른기사
한국 가계대출 '세계 4위'… 여전히 GDP 대비 100% 웃돌아
'DSR 대출 규제' 돌연 연기…"자영업자 배려" vs. "가계 빚 부채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