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10명 중 6명 '워킹맘'…경력 단절 이유 '육아'
SBS Biz 신다미
입력2023.11.21 14:18
수정2023.11.21 15:55

[18세 미만 자녀 동거 여성 고용현황 및 경력단절여성 현황 (사진=통계청)]
자녀(18세 미만)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10명 중 6명은 취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래 최고치입니다.
오늘(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기혼 여성의 고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0%로 1년 전 보다 2.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고용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50~54세 67.3%, 45~49세 65.1%, 40~44세 61.0%, 35~39세 57.2%, 30~34세 52.7% 등의 순이었습니다.
15∼54세 기혼여성 794만3천명 중 비취업 여성은 283만7천명이었고, 이 가운데 직장(일)을 다니다 그만둔 경력 단절 여성은 134만9천명이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4만8천명 감소했습니다.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1년 전(17.2%)보다 0.2%포인트 하락한 17%로 집계됐습니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를 꼽은 사람이 56만7천명(42.0%)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결혼 35만3천명(26.2%), 임신·출산 31만명(23.0%), 자녀교육 6만명(4.4%) 순이었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가 59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54만4천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전체 경력 단절 여성 중 3040 여성이 차지한 비중이 84.1%에 달한 것입니다. 전체 기혼여성 대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26.3%)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제주 면세점서 양주 500밀리 4병 사다줘"…'이거' 사라졌다
- 2.[단독] 민주, 내달 4일 전 상법 개정안 처리
- 3."도수치료 안 받는데"…이런 분들 실손보험료 확 줄어든다
- 4.월급 397만원 받는다고요?…대한민국 평균 직장인입니다
- 5.연봉 9600만원 김과장, 15만 원 받는다?…신생아는?
- 6.[단독] 월세? 연금에서 빠집니다…국민연금, 노인복지주택 짓는다?
- 7.15년 전 가격에 통큰치킨 오픈런…"팔자마자 동났다"
- 8.대륙의 실수는 잊어라…청소기, 전기차 다음은 샤오미?
- 9.'치킨회사 보고 있나'…5천원 통큰 치킨 15년만에 돌아왔다
- 10.근로장려금 오늘부터 입금…맞벌이·노인 수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