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아파트 화재 때 '무조건 대피'는 위험?…소방청 설명은?

SBS Biz 엄하은
입력2023.11.09 13:24
수정2023.11.09 15:19


아파트에서 화재가 날 시 무조건 대피하는 것이 아니라 화염과 연기의 확산 추이 등 화재 상황을 보고 대피 방법을 정해야 한다는 지침이 나왔습니다.

소방청은 아파트 화재 시 입주자에 대한 피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그동안 소방청은 화재가 발생하면 장소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했습니다. 하지만 아파트는 다른 층으로 연소가 확대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집에 있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음에도 대피하다가 연기 질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 3년간(2019∼2021년) 아파트에서는 총 8천360건의 화재가 일어나 1천40명(사망 98명·부상 942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는데 이 중 39%가 대피 중에 발생했습니다.

이에 소방청은 올해 4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7개월 동안 관련 전문가 18명이 참여한 가운데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 개선방안 TF'를 운영해 화재 상황 및 대피 여건에 따른 맞춤형 피난안전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자기 집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현관을 통해 대피할 수 있으면 계단을 이용해 낮은 자세로 지상층이나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현관 등에서 불이 나 밖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 집 안에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옮겨 구조를 요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기 집 외 다른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는 것이 좋습니다.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면 자기 집에서 불이 난 경우와 같이 행동해야 합니다.
 
박성열 소방청 화재예방총괄과장은 "피난 안전을 위해 평소 가족회의를 해 유사시 어떻게 피난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엄하은다른기사
판 커지는 '유병자보험' 초경증까지 세분화…손보사 2분기 또 호실적?
롯데카드, '보험앤로카' 2종 출시···보험료 월 최대 2.5만원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