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파나마운하 통행량 또 감축…크리스마스 앞두고 '화물대란' 우려

SBS Biz 배진솔
입력2023.11.01 08:44
수정2023.11.01 08:53

//img.biz.sbs.co.kr/upload/2023/09/13/5yX1694555890890-850.jpg 이미지

극심한 가뭄에 따른 수량 부족 문제를 겪는 걸린 파나마 운하에서 통행 가능 선박 수가 더 줄어 듭니다. 



31일(현지시간) 파나마운하청(ACP)에서 해운업계에 제공한 통지문을 보면 ACP는 다음 달 3∼6일 일일 파나마 운하 통행 가능 최대 선박 수를 31대에서 25대로 20% 가까이 축소합니다. 이 계획안은 전날 홈페이지에도 공지됐습니다.

ACP는 "물 절약 및 보존을 위한 비상 운용에도 운하 유역 강수량 부족에 따른 통행 선박 추가 감소는 불가피하다"며 "모든 조처에도 가툰 호수 수량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가툰 호수 수량은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요소입니다. 

해수면과 높이 차이가 있는 운하 특성상 갑문 사이에 물을 채우거나 빼면서 선박을 계단식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그 중간에 가툰 호수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올해 가툰 호수 주변은 역대급 가뭄으로 신음하고 있는 만큼 ACP는 다음 달 7∼30일 24대, 12월 1∼31일 22대, 내년 1월 1∼31일 20대로 선박 통행 규모를 차례로 줄일 예정입니다.

내년 2월 1일부터는 잠정적으로 18대까지 줄입니다.  이는 지난해 12월(37대)과 비교해 반토막 수준입니다.

운하 이용 선박의 흘수(물속에 잠긴 선체 깊이) 제한도 44.0피트(13.41m)로 유지합니다. 통상적인 파나마 운하 선박 흘수 제한은 50.0피트(15.24m)였습니다.

흘수 제한은 운하를 이용하는 선박의 화물량을 결정짓고 있습니다. 그 숫자가 낮아지면, 배를 물속에 덜 가라앉혀야 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전보다 선적량도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조처로 파나마 운하 주변 병목 현상은 심화할 전망입니다. 

앞서 흘수 연속 제한이 이뤄지던 8월 평균 운하 갑문 진입 전 대기 시간은 9.8일로, 2021년 동기 대비 약 3배(3.1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리스마스 시즌을 포함한 연말에 물동량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자칫 '화물 대란'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파나마 당국은 철도와 고속도로 등 대체 운송 수단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 통행 정체가 대부분 사전에 예약하지 않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만큼, 예약 시스템 활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해상 운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화주와의 계약은 연간 단위로 이뤄지고는 있지만, 내년까지 실제 통과 제한이 이어질 경우엔 추가 운임 부과 등 조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배진솔다른기사
관세 피하려는 美 공장 비용 급증
카카오, 2026년까지 잉여현금흐름 20∼35% 주주 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