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이위안 디폴트 공식 선언…中 정부 '후폭풍' 비상 [글로벌 뉴스픽]
SBS Biz 윤지혜
입력2023.10.26 05:40
수정2023.10.26 08:40
[앵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이 결국 공식적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습니다.
대규모 구조조정이 예상되지만 중국 지방정부 채무가 이미 과도한 상황인데요.
그 후폭풍과 중앙정부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윤지혜 기자, 그러니까 비구이위안이 그동안 부채를 상환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잖아요.
이번엔 공식적인 선언이 이뤄진 것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간 25일 비구이위안 수탁사인 홍콩 씨티코프 인터내셔널이 달러 채권 보유자들에게 보낸 성명서를 인용했습니다.
수탁사는 비구이위안이 만기까지 해당 채권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고, "디폴트의 구성요건이 갖춰졌다"고 통지했습니다.
비구이위안은 총 1860억 달러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이번 건 외에도 달러 채권 이자 지급 유예기간이 줄줄이 종료된다는 점에서 연쇄 지급불능(크로스 디폴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앵커]
이번 사태가 어디까지 갈지 가늠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중국 경제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잖아요?
[기자]
이런 상황에 중국 정부의 빚 관리 상황이 녹록지 않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중앙정부가 과도한 채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지방정부 12곳에 대해 추가 융자를 받지 못하도록 조치했다고 보도했는데요.
중국의 지방정부들은 3년간 '제로 코로나'에 따른 막대한 방역 비용 지출과 수년에 걸친 과도한 인프라 투자,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서 부채가 급속히 늘어난 상태입니다.
특히 지방정부가 인프라 건설 자금 등을 조달하기 위해 끌어다 쓴 돈은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숨겨진 부채'로 전해지는데요.
한마디로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실제 부채가 더 많기 때문에 중국 경제의 큰 위험 요소로 꼽혔습니다.
[앵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정부가 나서야 할 텐데 공격적인 지원도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군요?
[기자]
이런 가운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올해 국가 재정 적자 규모를 기존 국민총생산(GDP) 대비 3%에서 3.8%로 올렸습니다.
여기에 4분기부터 1조 위안(약 185조 원) 상당의 국채를 추가 발행한다는 중앙정부의 계획을 승인했는데요.
원래 중국 정부가 연초에 설정한 재정 적자 목표를 조정하는 것은 드문 일입니다.
국채 추가 발행이라는 카드까지 쓰면서 대응 수위를 높인 것은 대형 부동산 업체들의 연이은 위기 속에 지방정부 채무 문제까지 불거지면 안 된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앵커]
그도 그럴 것이 과거 헝다그룹 사태만 봐도 후폭풍이 만만치 않았잖아요?
[기자]
2021년 당시 헝다 그룹의 디폴트 사태는 중국 경제 전반의 안정을 뒤흔드는 계기가 됐습니다.
헝다 사태와 전력 대란 등이 겹치면서 2021년 4분기 중국 GDP 증가율은 4.0%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이 한창이던 2020년 2분기 이후 1년 반 만에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중국은 올해 연간성장률 5.0%를 달성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인데요.
비구이위안 디폴트의 충격이 헝다 때보다 클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상황에 중국 경제가 다시 한번 도전에 직면하게 됐습니다.
때문에 왕이 외교부장이 미국 방문에서 나서고 시진핑 주석이 미국에 대해 유화적 발언을 내놓고 있는 것도 이런 위기감을 반영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뉴스픽이었습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이 결국 공식적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습니다.
대규모 구조조정이 예상되지만 중국 지방정부 채무가 이미 과도한 상황인데요.
그 후폭풍과 중앙정부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윤지혜 기자, 그러니까 비구이위안이 그동안 부채를 상환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잖아요.
이번엔 공식적인 선언이 이뤄진 것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간 25일 비구이위안 수탁사인 홍콩 씨티코프 인터내셔널이 달러 채권 보유자들에게 보낸 성명서를 인용했습니다.
수탁사는 비구이위안이 만기까지 해당 채권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고, "디폴트의 구성요건이 갖춰졌다"고 통지했습니다.
비구이위안은 총 1860억 달러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이번 건 외에도 달러 채권 이자 지급 유예기간이 줄줄이 종료된다는 점에서 연쇄 지급불능(크로스 디폴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앵커]
이번 사태가 어디까지 갈지 가늠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중국 경제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잖아요?
[기자]
이런 상황에 중국 정부의 빚 관리 상황이 녹록지 않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중앙정부가 과도한 채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지방정부 12곳에 대해 추가 융자를 받지 못하도록 조치했다고 보도했는데요.
중국의 지방정부들은 3년간 '제로 코로나'에 따른 막대한 방역 비용 지출과 수년에 걸친 과도한 인프라 투자,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서 부채가 급속히 늘어난 상태입니다.
특히 지방정부가 인프라 건설 자금 등을 조달하기 위해 끌어다 쓴 돈은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숨겨진 부채'로 전해지는데요.
한마디로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실제 부채가 더 많기 때문에 중국 경제의 큰 위험 요소로 꼽혔습니다.
[앵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정부가 나서야 할 텐데 공격적인 지원도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군요?
[기자]
이런 가운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올해 국가 재정 적자 규모를 기존 국민총생산(GDP) 대비 3%에서 3.8%로 올렸습니다.
여기에 4분기부터 1조 위안(약 185조 원) 상당의 국채를 추가 발행한다는 중앙정부의 계획을 승인했는데요.
원래 중국 정부가 연초에 설정한 재정 적자 목표를 조정하는 것은 드문 일입니다.
국채 추가 발행이라는 카드까지 쓰면서 대응 수위를 높인 것은 대형 부동산 업체들의 연이은 위기 속에 지방정부 채무 문제까지 불거지면 안 된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앵커]
그도 그럴 것이 과거 헝다그룹 사태만 봐도 후폭풍이 만만치 않았잖아요?
[기자]
2021년 당시 헝다 그룹의 디폴트 사태는 중국 경제 전반의 안정을 뒤흔드는 계기가 됐습니다.
헝다 사태와 전력 대란 등이 겹치면서 2021년 4분기 중국 GDP 증가율은 4.0%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이 한창이던 2020년 2분기 이후 1년 반 만에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중국은 올해 연간성장률 5.0%를 달성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인데요.
비구이위안 디폴트의 충격이 헝다 때보다 클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상황에 중국 경제가 다시 한번 도전에 직면하게 됐습니다.
때문에 왕이 외교부장이 미국 방문에서 나서고 시진핑 주석이 미국에 대해 유화적 발언을 내놓고 있는 것도 이런 위기감을 반영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뉴스픽이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설 황금 연휴 엿새 쉬나…또 내수부양 단골카드?
- 2.홍역 전 세계 대유행…'여기' 갔다가 자칫 홍역 치룬다
- 3."강남 집부자들은 역시 빨랐다"…늘어난 증여 왜?
- 4.로또 1등 15명씩 20.2억…자동 선택 11곳 어디
- 5.尹측 "헌재 탄핵심판 필요없다"…트럼프 판결 거론
- 6.믿고 샀는데 짝퉁?…이마트, 전액환불 무슨 일?
- 7.외식도 줄이는 판에 車는 무슨...내수절벽 심각하네
- 8.커지는 '반도체 겨울'…삼성, 혹한기 길어지나
- 9."대학 붙어 한시름 놨더니"...부모님들 이 소식에 '한숨'
- 10.月 437만원 벌고 고급차 모는 노인도 기초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