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건보공단 해킹 시도 급증…올해 벌써 8천400여건

SBS Biz 오정인
입력2023.10.18 08:39
수정2023.10.18 09:06


개인 신상과 금융·의료정보를 보유한 건강보험 서버에 대한 해외발 해킹 시도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 자체 보안관제가 시작된 지난 2019년 이후 공단 서버를 상대로 시도된 사이버 공격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공단이 탐지한 사이버 공격 시도 건수는 지난 2019년 1천781건, 2020년 3천684건, 2021년 3천489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다 지난해 8천429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올 들어선 8천448건으로, 이미 지난해 수준을 뛰어 넘었습니다.

전체 2만5천831건 중 절대 다수인 98.3%가 해외에서의 해킹 시도였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발 해킹이 가장 많았고 미국, 네덜란드, 독일이 뒤를 이었습니다. 북한 IP 주소는 공단 통신장비에서 원천 차단되기 때문에 집계되지 않았습니다.



전체의 64.3%는 공단 정규 근무시간 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단에 따르면 탐지된 시도는 모두 차단됐기 때문에 현재까지 보안이 뚫린 사례는 없었습니다. 

공단은 주민등록번호 등 기본 신상을 포함해 계좌·카드 등 금융정보와 요양급여·건강검진내역 등 약 5천7백만명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공단은 "사이버 공격 건수가 늘어나고 방법도 고도화됨에 따라 대응인력을 늘리는 한편 방화벽, 침입차단시스템 등 다중방어체계를 가동하고 인터넷망을 분리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새로운 지능형 사이버 위협 차단을 위해 인공지능(AI) 공격·탐지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오는 2025년까지 다양한 보안장비의 정보를 분석해 자동으로 대응하는 플랫폼을 소속기관으로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의원은 "공단은 진료기록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해킹으로 인한 정보 유출이 발생한다면 큰 사회적 혼란이 생길 것"이라며 "인력과 예산 지원을 아끼지 말고 갈수록 고도화되는 사이버공격에 대비해 철저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정인다른기사
일회용컵 보증금제 결국 자율로…자율로 전국 확산?
환경부 "온실가스 감축목표 연내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