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지옥철 4·7·9호선'…30일부터 운행 횟수 늘린다

SBS Biz 우형준
입력2023.10.06 07:34
수정2023.10.06 10:15


이달 30일부터 지하철 4·7호선의 출퇴근 시간대 열차 운행 횟수가 늘어납니다.

서울교통공사는 내일(7일)부터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인상됨에 따라 요금 인상 수익이 지하철 이용 편의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증회를 결정했다고 오늘(6일)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4호선은 출근 시간대를 포함해 운행 횟수가 총 4회 늘어납니다.

4호선의 최고 혼잡도(오전 8시∼8시 30분 기준)는 186%로 1∼8호선 가운데 가장 혼잡도가 높습니다.

혼잡도란 객차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탑승했는지를 알려주는 수치로, 실제 승차 인원을 승차 정원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4호선의 최고 혼잡도는 지난해 4월 진접선이 개통하면서 162%에서 186%로 상승했습니다.

공사는 이번 증회로 4호선의 최고 혼잡도가 186%에서 167%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7호선은 출근과 퇴근 시간대 각 1회씩 총 2회 증회 운행합니다.

증회가 이뤄지면 혼잡도가 최고 161%에서 148%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9호선도 12월부터 단계적 조기 투입

공사는 또 9호선 혼잡도 완화를 위해 내년 2월을 목표로 8개 편성 48칸의 증차를 추진 중이었는데 일정을 최대한 앞당겨 올해 12월 말부터 단계적으로 열차를 조기 투입할 예정입니다.

최근 김포공항을 중심으로 5개 철도노선(5호선·9호선·공항철도·김포골드라인·서해선)이 환승하는 등 9호선의 혼잡도가 가중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입니다.

9호선 증차가 완료되면 열차 운행 횟수가 평일 출·퇴근 시간대 총 24회(급행열차 12회, 일반열차 12회) 늘어나 급행열차 기준 최고 혼잡도가 194%에서 163%로 낮아질 전망입니다.

또 증차의 효과로 평일 출·퇴근시간대 평균 배차 간격은 3.6분에서 3.1분으로 단축됩니다.

일반열차의 최고 혼잡도는 131%에서 110%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운임인상을 통해 얻은 이익이 시민의 편익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우형준다른기사
김건희 여사, "삶의 위기 제게도 있었다…정신질환 인식 바꿔야"
"정신건강에 예산 3천억원 투입…2027년까지 100만명에 상담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