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실적 낸 보험업계…서민금융 지원은 '외면'
SBS Biz 류정현
입력2023.10.05 17:42
수정2023.10.05 18:27
[앵커]
햇살론은 신용점수나 소득 수준이 낮은 금융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정책 금융상품입니다.
지난 2021년부터 모든 금융회사가 관련 상품을 운영하도록 돼 있는데요.
하지만 역대급 실적을 내고 있는 보험업계에선 서민금융 지원이 외면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류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보험사들은 이른바 '역대급'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회계제도 변경 효과에 더불어 보장성 보험 등의 판매 성적이 양호했기 때문입니다.
[조영현 /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장 : 생명보험 당기순이익 같은 경우 올해 상반기만 해도 3.8조 원으로 작년보다 상회한 이익을 올렸습니다. (손해보험은) 2022년에 4.6조 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는데요. 올해 상반기에 그것과 거의 동일한 4.6조 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습니다.]
이처럼 불경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의 실적을 내고 있지만 서민금융 지원에는 인색했습니다.
재작년 10월부터 올해 6월 말까지 보험사에서 나간 햇살론 규모는 단 10억 원에 불과합니다.
1조 8천억 원이 넘는 은행권이나 500억 원에 육박한 여전업 계와는 비교도 안 되는 수치입니다.
지난해 말 삼성생명이 햇살론 상품을 내놓으면서 물꼬가 트이는가 했지만 약 10달이 흘렀는데도 다른 보험사의 참여는 아직입니다.
정책 금융상품이라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없다 보니 '역마진'을 우려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걸로 풀이됩니다.
여기에 은행이나 카드사보다 대출상품 취급 능력이 부족한 점도 원인으로 꼽힙니다.
[윤창현 / 국민의힘 의원 : 예를 들어 보험에 가입할 여력이 없는 저소득 청년을 지원해 주는 상품을 만들면 보험회사도 이제 적극적으로 판매를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잘할 수 있는 쪽으로 연결하면 재원을 잘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금융당국도 연내 햇살론 공급 규모를 늘릴 방침인 만큼 보험업계를 향한 압력도 거세질 전망입니다.
SBS Biz 류정현입니다.
햇살론은 신용점수나 소득 수준이 낮은 금융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정책 금융상품입니다.
지난 2021년부터 모든 금융회사가 관련 상품을 운영하도록 돼 있는데요.
하지만 역대급 실적을 내고 있는 보험업계에선 서민금융 지원이 외면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류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보험사들은 이른바 '역대급'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회계제도 변경 효과에 더불어 보장성 보험 등의 판매 성적이 양호했기 때문입니다.
[조영현 /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장 : 생명보험 당기순이익 같은 경우 올해 상반기만 해도 3.8조 원으로 작년보다 상회한 이익을 올렸습니다. (손해보험은) 2022년에 4.6조 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는데요. 올해 상반기에 그것과 거의 동일한 4.6조 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습니다.]
이처럼 불경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의 실적을 내고 있지만 서민금융 지원에는 인색했습니다.
재작년 10월부터 올해 6월 말까지 보험사에서 나간 햇살론 규모는 단 10억 원에 불과합니다.
1조 8천억 원이 넘는 은행권이나 500억 원에 육박한 여전업 계와는 비교도 안 되는 수치입니다.
지난해 말 삼성생명이 햇살론 상품을 내놓으면서 물꼬가 트이는가 했지만 약 10달이 흘렀는데도 다른 보험사의 참여는 아직입니다.
정책 금융상품이라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없다 보니 '역마진'을 우려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걸로 풀이됩니다.
여기에 은행이나 카드사보다 대출상품 취급 능력이 부족한 점도 원인으로 꼽힙니다.
[윤창현 / 국민의힘 의원 : 예를 들어 보험에 가입할 여력이 없는 저소득 청년을 지원해 주는 상품을 만들면 보험회사도 이제 적극적으로 판매를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잘할 수 있는 쪽으로 연결하면 재원을 잘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금융당국도 연내 햇살론 공급 규모를 늘릴 방침인 만큼 보험업계를 향한 압력도 거세질 전망입니다.
SBS Biz 류정현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사 갔다가 자칫 100만원 과태료?…전월세 신고제 뭐길래
- 2.금·유가 줄줄이 급락…상품시장도 직격탄
- 3.5천만원 전기차 최대 1800만원 할인…이참에 살까
- 4.금마저 팔아치운다…비트코인 8만달러 붕괴
- 5.[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마진콜 '금값 폭락'·트럼프 퇴진·파월의 반란·베트남 항복
- 6.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쳤다… 1분기 D램 점유율 1위
- 7."이게 되겠느냐"…尹 파면에 재건축 집주인들 '안절부절'
- 8.금·비트코인도 못 피했다…JP모건의 잔인한 전망
- 9.서울~부산 20분…시속 1200km 꿈의 열차 개발 본격화
- 10.대한항공 조종사들, 호주 호텔서 주먹질…이유가 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