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하우머니] 5% '고금리 시대' 재테크…대출 전략부터 다시 짜야?

SBS Biz 김경화
입력2023.09.27 07:49
수정2023.09.27 09:52

■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하우머니' - 김은진 레오대출연구소 대표

Q. 은행권이 잊고 있었던 레고랜드 디폴트 사태에 다시 긴장하고 있습니다. 당시 예치했던 고금리 예·적금 만기가 임박하면서 은행들이 재예치를 위해서 수신금리를 높이고 있다는데요. 예·적금 금리 동향, 어떤 상황인가요?


- 수신금리 높이는 은행들, 예·적금 금리 동향은?
- 지난해 10월 레고랜드 사태 발생…당시 채권시장 불안
- 은행들, 자금조달 위해 고금리 예·적금 유치…만기 도래
- 다음 달 예·적금 116조 원 만기 임박···불붙은 수신 경쟁
- '자금이탈' 막기 안간힘…'파킹통장' 금리 3~4%대 인상
- 예금금리 상승, 대출금리에 반영…금융사 수신금리 상승
- 대출금리, 조달 비용에 '영업 마진' 가산금리 더해 책정
- 금융권 일각 "파킹통장 금리, 연 5% 시대 다시 올 수도"

Q. 예·적금 금리가 올라서 좋아했는데 대출금리도 함께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주담대를 중심으로 대출액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자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겠어요?

- 최근 주담대 중심 대출액 상승, 이자 부담은?
- 연준, 추가 인상·고금리 장기화 시사…한국도 불안
-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 급증…정부 대출 줄이기 노력
- 오늘부터 연소득 1억 원 초과 시 특례보금자리론 불가
- 일시적 2주택자 대상 제외…우대형 10월 금리 동결
- '50년 주담대' 막차…이달 가계빚 전월比 1조 6,400억↑
- 상반기 부동산 시장 회복세…'내 집 마련' 대출 증가
- 7% 넘은 주담대 "더 오른다"…'이자 폭탄' 우려 확대
- 긴 추석 연휴 돈 쓸 곳 많아진 사람들…신용대출 증가
- 지난달 은행채 순발행액 3조7794억원…전월比 급증
- 집값 급등기에 내 집 마련' 놓친 수요자들 구매 욕구↑
- 고금리 지속 4~5%대 금리 익숙…'심리적 저항선' 높아져
- 주담대, 대부분 금리 변하지 않는 혼합형 금리 주된 이용
- 금융당국, 대출 억제 정책 확대…"대출 상황 지켜봐야"
- 대출금리 인상, 이자 부담↑…"원금 상황 비중 늘려야"

Q. 이마저도 대출을 받은 분들 이야기입니다. 최근 시중은행 대출 문턱이 깐깐해져 고신용자도 돈 빌리기 쉽지 않다고요?

- 대출 문턱 높인 은행권, 고신용자들도 '난감'?
- 정부 "차주 상환능력 심사 강화…금융사 경쟁 차단"
- 은행권들, 규제 많은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 활발
- 신용점수관리 '깐깐'…중저신용자들 제2금융권 발길
- 가계대출 급증세·높아진 연체율, 대출 심사 더 깐깐
- 7월 시중은행 신용대출 신용점수 평균 909~947점
- 고신용자도 대출받기 '진땀'…돈줄 마른 저신용자들
- 연체율 높아진 은행권…중저신용자 대출 더욱 조여

Q. 은행권이 잊고 있었던 레고랜드 디폴트 사태에 다시 긴장하고 있습니다. 당시 예치했던 고금리 예·적금 만기가 임박하면서 은행들이 재예치를 위해서 수신금리를 높이고 있다는데요. 예·적금 금리 동향, 어떤 상황인가요?

- 수신금리 높이는 은행들, 예·적금 금리 동향은?
- 지난해 10월 레고랜드 사태 발생…당시 채권시장 불안
- 은행들, 자금조달 위해 고금리 예·적금 유치…만기 도래
- 다음 달 예·적금 116조 원 만기 임박···불붙은 수신 경쟁
- '자금이탈' 막기 안간힘…'파킹통장' 금리 3~4%대 인상
- 예금금리 상승, 대출금리에 반영…금융사 수신금리 상승
- 대출금리, 조달 비용에 '영업 마진' 가산금리 더해 책정
- 금융권 일각 "파킹통장 금리, 연 5% 시대 다시 올 수도"

Q. 예·적금 금리가 올라서 좋아했는데 대출금리도 함께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주담대를 중심으로 대출액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자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겠어요?

- 최근 주담대 중심 대출액 상승, 이자 부담은?
- 연준, 추가 인상·고금리 장기화 시사…한국도 불안
-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 급증…정부 대출 줄이기 노력
- 오늘부터 연소득 1억 원 초과 시 특례보금자리론 불가
- 일시적 2주택자 대상 제외…우대형 10월 금리 동결
- 50년 주담대' 막차…이달 가계빚 전월比 1조 6,400억↑
- 상반기 부동산 시장 회복세…'내 집 마련' 대출 증가
- 7% 넘은 주담대 "더 오른다"…'이자 폭탄' 우려 확대
- 긴 추석 연휴 돈 쓸 곳 많아진 사람들…신용대출 증가
- 지난달 은행채 순발행액 3조 7,794억 …전월比 급증
- 집값 급등기에 내 집 마련' 놓친 수요자들 구매 욕구↑
- 고금리 지속 4~5%대 금리 익숙…'심리적 저항선' 높아져
- 주담대, 대부분 금리 변하지 않는 혼합형 금리 주된 이용
- 금융당국, 대출 억제 정책 확대…"대출 상황 지켜봐야"
- 대출금리 인상, 이자 부담↑…"원금 상황 비중 늘려야"

Q. 이마저도 대출을 받은 분들 이야기입니다. 최근 시중은행 대출 문턱이 깐깐해져 고신용자도 돈 빌리기 쉽지 않다고요?

- 대출 문턱 높인 은행권, 고신용자들도 '난감'?
- 정부 "차주 상환능력 심사 강화…금융사 경쟁 차단"
- 은행권들, 규제 많은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 활발
- 신용점수관리 '깐깐'…중저신용자들 제2금융권 발길
- 가계대출 급증세·높아진 연체율, 대출 심사 더 깐깐
- 7월 시중은행 신용대출 신용점수 평균 909~947점
- 고신용자도 대출받기 '진땀'…돈줄 마른 저신용자들
- 연체율 높아진 은행권…중저신용자 대출 더욱 조여

Q. 은행들이 대출을 조이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건전성입니다. 최근 은행 건전성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는 징후가 나오고 있어요?

- 점점 악화하는 은행 건전성…현황은?
- 제1금융권 기업·대출-인터넷은행 신용대출 연체율 급증
- '가계부채 주범' 주담대, 부실 위험·연체 우려 낮은 편
- 기업대출, 통상 사업성 악화되면 바로 연체로 이어져
- 최근 은행권, 기업 재무상태 나쁘며 대출 꺼리는 분위기
-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연체율 0.71% 급증 '최대' 기록
- 기업대출 중 중소법인 0.51%·개인사업자 0.45% 차지

Q. 주담대를 조이고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손쉽게 대출받을 수 있는 카드사로 대출 수요가 몰리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까지 다가오면서 카드론과 리볼빙 잔액이 늘고 있어요?

- 대출 수요 몰리는 카드사, 카드론·리볼빙 잔액은?
- 카드사 장단기대출 수요 증가…결재 미루는 리볼빙도↑
- "카드값 연체보다 낫다"…리볼빙 금리 17% 전후 책정
- 고금리 리볼빙, 대부분 상환 어려워…연체 확률 높아
- 담보 대출 위주로 받아야…신용점수 관리도 철저히

Q. 대출금리가 상승할 수 있다는 소식에 불안한 분들이 있죠. 바로 전세대출을 받은 세입자들입니다. 전세대출의 경우 대부분 변동금리가 많은데 보통 2년을 주기로 받게 되잖아요?

- 세임자들, 변동금리 전세대출 '덜컹'…현황은?
- 전세계약 통상 2년 단위 갱신…전세대출 2년마다 연장
- 만기 짧은 전세대출, 변동금리 선호…대환 등 어려워
- 전세대출, 해당 은행 연장 많아…새로운 대출보다 금리↑
- 대부분 대환 불가능…대환 가능한 은행들 살펴봐야
- 전세대출 금리인하요구권 불가…HUG 등 보증서 담보
- 변동형 금리 다수…전세대출 금리 상승 시 세입자 고민
- 일부 전세대출 상품 2년 고정금리도…"상품 잘 살펴야"

Q. 미국 연준이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우리 역시 지난 금통위에서 금리를 추가 인상할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요. 고금리 상황이 길어질 듯합니다. 대출 전략, 어떻게 짜야 할까요?

- 고금리 장기화 시사, 향후 대출 전략은?
- 한은, 지난달 기준금리 연 3.5% 동결…대출금리 여전
- 통상 연말 기간, 은행들 영업 마무리…대출금리 높아
- 국내 경기·금융 안정 불안 여전…추가 금리인상 '글쎄'
-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여전…"불필요한 대출 줄여야"
- 변동금리 주담대 차주들, 고정금리 전환 등 살펴야
- 단, 대출 발생 3년 이전일 경우 중도상환수수료 염두
- "대출 갈아타기, 손품·발품 필수…상환계획도 꼼꼼히"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경화다른기사
과세 앞두고 '600만 코인러' 한숨…"예정대로" VS "2년 뒤부터"
'천장 뚫린' 비트코인…연내 10만 달러 돌파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