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단독] '지하철 깡' 직원이 300차례나…코레일네트웍스 까맣게 몰랐다

SBS Biz 안지혜
입력2023.09.01 17:43
수정2023.09.02 09:08

[앵커] 

코레일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 직원이 이른바 지하철 이용권 '깡'을 하다 뒤늦게 덜미를 잡힌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장부상 금액까지 맞춰 놓는 치밀한 수법으로, 9개월 넘게 발각되지 않았는데요. 

안지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3월, 코레일이 운영하는 경기도 한 지하철역에서 발권기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운임이 들어있는 1회권이 이렇게 고객에게 발급돼야 합니다. 

그런데 고장 난 발권기에서는 운임이 들어있는 1회권이 폐표로 인식되면서 고객에게 돈을 돌려주면서도 표는 표대로 동시에 기계 안에 쌓였습니다.
 
//img.biz.sbs.co.kr/upload/2023/09/01/C9g1693562756025-850.jpg 이미지
 
이를 알게 된 코레일네트웍스 소속 역무원 A 씨는 폐표들을 거둬 다른 B역 무인반환기에서 돈으로 바꿨습니다. 

이렇게 빼돌린 1회권은 9개월 동안 301장, 금액으로는 1백만 원이 넘습니다. 

수상함을 인지한 B역에서 신고가 들어오기까진 코레일네트웍스도 까맣게 몰랐습니다. 

[코레일네트웍스 관계자 : 보증금 500원만 채워 넣게 되면 그 폐표에 대해서 금고에 있는 수익금과 보관금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기 때문에 회사에서는 알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코레일과 자회사에서의 이런 직원 횡령 사례는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올 들어서만 4건의 징계가 확정됐는데, 법인카드 사적 사용이나 역 보관금, 선불 교통카드 횡령 등 수법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코레일네트웍스는 "역무원 기본적 의무를 저버린 심각한 비위인 만큼 A 씨 해고를 위한 징계위원회 절차를 밟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공공기관 방만 경영을 바로 잡겠다며 드라이브를 이어가고 있지만 재정 누수를 막기 위해라서도 내부 기강부터 다잡는 게 급선무란 지적이 나옵니다. 

SBS Biz 안지혜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안지혜다른기사
SK그룹 미국 법인도 랜섬웨어 공격…"중요정보 유출없어"
한화세미텍, 차세대 반도체 장비 개발 전담 조직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