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이러다 또 집값 엄청 오를라...주택 착공·인허가 '뚝'

SBS Biz 이한나
입력2023.08.31 08:34
수정2023.08.31 10:00


올해 1∼7월 전국의 주택 착공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인허가는 30% 줄어 2∼년 뒤 주택 공급난으로 부동산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정부도 공급 위축 상황을 '초기 비상 상황'으로 보고 대응에 나섰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오늘(31일)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만 7천278호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9.9% 감소했습니다.

아파트 인허가가 17만 8천209호로 24.9%,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2만 9천69호로 50.3% 줄었습니다.

7월 한 달간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501호인데,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75.4% 줄어든 수치입니다.

1∼7월 누계 착공 물량도 10만 2천299호로 54.1% 줄었습니다.

수도권 착공은 5만 3천968호로 53.7%, 지방은 4만 8천331호로 54.6% 감소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7만 7천91호로 54% 줄었습니다.

다만 올해 1∼7월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1만 8천618호로 전년 동기보다 2.1% 늘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착공한 물량이 완공되며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통상 주택은 착공 이후 2∼3년 뒤, 인허가 3∼5년 뒤 공급(입주)이 이뤄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준공 물량이 소화된 뒤부터는 주택 수급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주택 공급 지표가 급감한 것은 지방을 중심으로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금리 인상과 원자잿값 인상으로 집을 지을 여건이 나빠져서입니다.

정부는 최근 주택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금리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연장 등 자금 조달을 지원해 민간 공급 여건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7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6만 3천87호로 전월보다 5.0%(3천301호) 줄었습니다.

수도권 미분양이 8천834호로 16.3%(1천725호) 감소했고, 지방 미분양도 5만 4천253호로 2.8%(1천576호) 줄었습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작년 10월 이후 9개월 만에 감소했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달 9천41호로 전월보다 3.8%(358호) 줄었습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미분양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미분양은 1천81호로 100호 감소했고, 경기는 6천541호로 685호 줄었습니다.

인천 미분양(1천212호)은 940호 줄어 수도권 미분양 감소 물량이 전체의 52%를 차지했습니다.

미분양 감소에는 분양 물량 자체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올해 7월까지 누적 공동주택 분양은 전국 7만 9천631호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4.4% 줄었습니다.

수도권 분양이 31.7%, 지방에선 55.0% 감소했습니다.

다만 7월까지 서울의 아파트 분양 물량은 7천81호로 79.9% 늘었습니다.

인천(-55.3%)·경기(-33.7%)와는 다른 흐름입니다.

아파트 일반분양(5만 9천654호)은 47.8% 줄었고, 임대주택(5천77호)은 더 큰 폭인 53.5% 감소했습니다.

주택 거래량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7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4만 8천170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6% 증가했습니다.

수도권 주택 매매량이 2만 2천179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5%, 지방은 2만 5천991호로 13.7% 증가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3천804건으로, 작년 같은 달(1천28호)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7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0만 3천560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5% 감소했습니다.

전세 거래량(9만 4천753건)이 작년 같은 달보다 9.6% 줄었지만, 월세 거래량(10만 8천807건)은 2.5%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5.0%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포인트 높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한나다른기사
공매도 투자자들, 엔비디아 주가 13% 조정국면서 7조원 평가익
애플 이어 MS도 제재…EU "빅테크가 갑질했다" [글로벌 뉴스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