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GS건설에 10개월 영업정지 처분
SBS Biz 박채은
입력2023.08.28 05:55
수정2023.08.28 07:27
[앵커]
GS건설이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로 최장 10개월의 영업정지 처분 위기에 놓였습니다.
정부는 최근 2%대로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달과 다음 달에 다시 3%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박채은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어제(27일) 오후 관련 브리핑을 했죠.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기자]
국토부는 어제(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사고 책임 주체 위법행위에 대해 무관용으로 처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검단아파트 시공업체인 GS건설 컨소시엄과 협력업체에 대해 영업정지 8개월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서울시에는 불성실한 안전 점검 수행 등의 이유로 GS건설 컨소시엄에 대한 2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을 할 것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GS건설은 국토부의 처분 조치 발표 이후 "행정제재의 적정성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한 후 청문절차에서 잘 소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의 행정처분은 행정처분심의위원회의 청문 및 심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됩니다.
[앵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죠?
[기자]
그렇습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소비자물가가 3% 넘게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 폭을 좌우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휘발유 및 경유 가격의 급등으로 꼽히는데, 최근 휘발유가 1700원대로 올라서는 등 석유류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정부는 오는 10월부터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내려앉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내용도 짚어보죠.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된 후 진행된 해양 방사능 조사의 결과가 나왔다고요?
[기자]
해양수산부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 하루 뒤인 지난 25일 우리나라 3개 해역 15개 지점에서 해양 방사능 조사를 진행했는데요.
이 중 남동해역 5개 지점의 조사 결과에서 세슘과 삼중수소 농도가 모두 안전한 수준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해수부는 나머지 10개 지점에서 진행한 조사 결과도 확인되는 대로 공개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내년부터 개인투자자들이 10만원의 소액으로도 한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다죠?
[기자]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개인 투자용 국채 발행 근거를 담은 국채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를 마쳤는데요.
정부는 개인 투자용 국채의 최소 투자액은 10만원, 연 최대 투자액은 1억 원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개인 투자용 국채는 내년 상반기 중 10년물이나 20년물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앵커]
다음 달부터 삼성을 비롯한 국내 주요 대기업의 하반기 채용 시즌이 시작되죠?
[기자]
재계에 따르면 삼성 계열사들은 다음 달 초에 하반기 신입사원 정기 채용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SK그룹, 현대자동차, LG그룹 등 다른 주요 대기업도 이달 말부터 채용에 나섭니다.
다만 하반기에도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채용 규모가 예년보다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앵커]
박채은 기자, 잘 들었습니다.
GS건설이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로 최장 10개월의 영업정지 처분 위기에 놓였습니다.
정부는 최근 2%대로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달과 다음 달에 다시 3%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박채은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어제(27일) 오후 관련 브리핑을 했죠.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기자]
국토부는 어제(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사고 책임 주체 위법행위에 대해 무관용으로 처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검단아파트 시공업체인 GS건설 컨소시엄과 협력업체에 대해 영업정지 8개월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서울시에는 불성실한 안전 점검 수행 등의 이유로 GS건설 컨소시엄에 대한 2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을 할 것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GS건설은 국토부의 처분 조치 발표 이후 "행정제재의 적정성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한 후 청문절차에서 잘 소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의 행정처분은 행정처분심의위원회의 청문 및 심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됩니다.
[앵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죠?
[기자]
그렇습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소비자물가가 3% 넘게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 폭을 좌우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휘발유 및 경유 가격의 급등으로 꼽히는데, 최근 휘발유가 1700원대로 올라서는 등 석유류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정부는 오는 10월부터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내려앉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내용도 짚어보죠.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된 후 진행된 해양 방사능 조사의 결과가 나왔다고요?
[기자]
해양수산부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 하루 뒤인 지난 25일 우리나라 3개 해역 15개 지점에서 해양 방사능 조사를 진행했는데요.
이 중 남동해역 5개 지점의 조사 결과에서 세슘과 삼중수소 농도가 모두 안전한 수준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해수부는 나머지 10개 지점에서 진행한 조사 결과도 확인되는 대로 공개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내년부터 개인투자자들이 10만원의 소액으로도 한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다죠?
[기자]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개인 투자용 국채 발행 근거를 담은 국채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를 마쳤는데요.
정부는 개인 투자용 국채의 최소 투자액은 10만원, 연 최대 투자액은 1억 원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개인 투자용 국채는 내년 상반기 중 10년물이나 20년물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앵커]
다음 달부터 삼성을 비롯한 국내 주요 대기업의 하반기 채용 시즌이 시작되죠?
[기자]
재계에 따르면 삼성 계열사들은 다음 달 초에 하반기 신입사원 정기 채용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SK그룹, 현대자동차, LG그룹 등 다른 주요 대기업도 이달 말부터 채용에 나섭니다.
다만 하반기에도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채용 규모가 예년보다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앵커]
박채은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국민연금 가입자 사망 일시금, 형제자매·4촌 등 제외
- 2.25.4억 로또 1등 모두 ‘자동’에서 터졌다…지역은 어디?
- 3.'10배 빠른' 지하철 와이파이, 오늘부터 못 쓴다
- 4."방치했던 구글 계정 이번주 로그인 하세요"
- 5.정년? 사라진지 오래…'먹고 살려니' 65세~75세 절반 '일 원해요'
- 6."현금만 받습니다"…카드결제 제한 '꼼수' 막는다
- 7.노후대비로 들었는데…연금저축 수익률 왜 이리 낮은거죠?
- 8.['생생' 제약-바이오] 셀트리온 합병 '발목잡기'…휴마시스가 얻는 것은
- 9.한약재로 '이것' 쓰지 마세요…"맹독성 농약 검출"
- 10.금값, 오르고 또 오른다…왜? 언제까지? [글로벌 뉴스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