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올렸지만 늘어난 빚더미…4분기 인상 불가피
SBS Biz 김완진
입력2023.08.23 11:15
수정2023.08.23 13:09
[앵커]
한국전력 부채 규모가 사상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런 와중에 국제유가가 다시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3분기에 동결했던 전기요금이 4분기에는 오를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김완진 기자, 한전 빚이 올해 들어서만 얼마나 불어난 겁니까?
[기자]
지난해 말 193조 원 정도였으니까, 6개월 만에 약 8조 원 가량 늘었습니다.
지난 2021년 10월부터 발전사에서 사오는 전기 가격이 가정, 기업에 파는 가격보다 높아, 판매할수록 손해를 보는 '역마진' 구조가 계속 이어져 온 영향이 컸는데요.
지난해부터 전기요금을 다섯 차례에 걸쳐 40% 가까이 올리는가 하면 자구책 마련에도 나섰고, 국제 에너지 가격이 안정을 찾으면서 지난 5월에 역마진 구조가 해소되기는 했지만, 아직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앵커]
그럼 전기요금 추가 인상은 불가피한 겁니까?
[기자]
3분기에 동결한 전기요금을 4분기에는 올릴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근 국제유가가 다시 올라 배럴당 80달러를 넘으면서, 간신히 벗어났던 역마진 늪에 또 빠질 여지가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전이 지난 11일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자금 조달 난항을 우려하기도 했는데요.
한전은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의 5배까지만 한전채를 발행할 수 있는 만큼, 내년에 발행할 수 있는 한전채 발행 한도가 줄 수 밖에 없어서입니다.
결국 요금을 올리는 것 말고는 한전의 눈덩이 빚을 털어내기 힘든 국면이 펼쳐지는 셈입니다.
다만 내년 총선이 8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는 점은 변수로 꼽힙니다.
SBS Biz 김완진입니다.
한국전력 부채 규모가 사상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런 와중에 국제유가가 다시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3분기에 동결했던 전기요금이 4분기에는 오를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김완진 기자, 한전 빚이 올해 들어서만 얼마나 불어난 겁니까?
[기자]
지난해 말 193조 원 정도였으니까, 6개월 만에 약 8조 원 가량 늘었습니다.
지난 2021년 10월부터 발전사에서 사오는 전기 가격이 가정, 기업에 파는 가격보다 높아, 판매할수록 손해를 보는 '역마진' 구조가 계속 이어져 온 영향이 컸는데요.
지난해부터 전기요금을 다섯 차례에 걸쳐 40% 가까이 올리는가 하면 자구책 마련에도 나섰고, 국제 에너지 가격이 안정을 찾으면서 지난 5월에 역마진 구조가 해소되기는 했지만, 아직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앵커]
그럼 전기요금 추가 인상은 불가피한 겁니까?
[기자]
3분기에 동결한 전기요금을 4분기에는 올릴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근 국제유가가 다시 올라 배럴당 80달러를 넘으면서, 간신히 벗어났던 역마진 늪에 또 빠질 여지가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전이 지난 11일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자금 조달 난항을 우려하기도 했는데요.
한전은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의 5배까지만 한전채를 발행할 수 있는 만큼, 내년에 발행할 수 있는 한전채 발행 한도가 줄 수 밖에 없어서입니다.
결국 요금을 올리는 것 말고는 한전의 눈덩이 빚을 털어내기 힘든 국면이 펼쳐지는 셈입니다.
다만 내년 총선이 8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는 점은 변수로 꼽힙니다.
SBS Biz 김완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더 이상 못 버틴다'…뚜레쥬르도 결국
- 2.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3.퇴직금은 무조건 일시불?…세금 폭탄 이렇게 피한다고?
- 4.'76·86·96년생은 깎아준다 왜?'...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시끌
- 5.월 300만원...필리핀 이모님 결국 강남 이모님 됐네
- 6.月 70만원씩 모으면 5천만원 준다고?…나도 가입할 수 있나?
- 7.FIU, 두나무에 "업비트 영업 일부정지 3개월"
- 8.1조 투자한다던 BMW도 돌아섰다…전기차 급방전
- 9.상품권 미끼로 이자 준다더니…억대 먹튀 피해 일파만파
- 10.현금 480조 쌓아둔 버핏…올해 '이곳' 주식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