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하우머니] "내 노후는 내가"…'인생 2막' 창업 트렌드는?

SBS Biz 김경화
입력2023.08.16 07:37
수정2023.08.16 09:43

■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하우머니' -  김상훈 창업통TV 대표

Q. 과거에 비해 수명도 늘고 건강도 좋아졌지만 나이가 들면 일자리가 줄기 마련이죠. 주변을 보면 정년 퇴임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더라고요. 현재 정년은 60세지만 평균 퇴직이 50세가 채 되지 않던데요?


- 급속도로 빨라지는 고령화…노령층 취업은?
- 55~79세 평균 퇴직나이 49.4세…희망근로 연령 73세
- 55~79세 인구 10명 중 7명 "계속 일하고 싶다"
- 올해 고령층 취업자수 912만명…10년 전比 약 3배↑
- 희망 입금수준, 전체 취업자 중 38% 150만-250만원
- 근로 이유 과반 "생활비" 응답…연금 수령 월75만원

Q. 일을 그만두는 분들 중 비자발적 퇴직자가 거의 절반 가까이 된다고요. 그렇다면 재취업을 희망할 텐데 쉽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퇴직 후 진로가 보통 어떻게 되나요?

- 비자발적 퇴직 급증, 향후 진로는?
- 비자발적 퇴직자 2016년 125.8만→2021년 157.7만명
- 비자발적 퇴직자, 명예·조기퇴직 및 정리해고 등 실직
- "더 일하고 싶지만"…원치 않은 퇴직하는 경우 급증
- 전체 퇴직자 중 47.8% 비자발적…이후 재취업 관건
- 5060 고령 퇴직자, 퇴직 후 재취업 자리 쉽지 않아
- '인생 2막' 여는 고령 퇴직자들, 결국 창업시장 노크

Q. 결국 창업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을 텐데요. 하지만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중이 꽤 높은 편이라 "과연 잘 될까" 고민이 많을 것 같습니다. 요즘 창업 박람회를 보면 중장년층 비율이 높아졌다고요. 분위기가 어떻습니까?

- 창업 박람회 중장년층 '북적'…현장 분위기는?
- 창업 박람회장, 5060 중장년 세대 발길 부쩍 늘어
- 나 홀로 박람회장 발길…부부 혹은 자녀와 방문도
- "당장의 창업보다 신박한 아이템 찾기 위해 방문"
- 월 200개 정도 신규 프랜차이즈 브랜드 공정위 등록
- 중장년 창업자, '인생 2막' 위한 독립 아이템 발굴
- 명예퇴직 시 실업급여 종료 전 창업아이템 발굴 노력
- 분양상가 있을 경우 세입자 찾기보다 직접 창업 고려

Q. 중장년층이 창업을 생각할 때 고려하는 사항이나 가장 관심을 많이 갖는 유형이나 분야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점포형-무점포형 창업 고민…최근 온라인 창업도 노크
- 코로나에 온라인 창업 증가…중장년에게 문턱 높은 편
- 온라인 창업, 수익성 담보하기까지 장시간 소요 단점
- 대체로 점포형 창업 준비…'외식업 브랜드' 관심 여전
- 도소매업 편의점·주판점·건강식품판매점·문구점 창업도
- 스터디카페·고시원·필라테스 등 시설서비스업도 관심

Q. 당장 자영업 하면 생각나는 건 외식업이 떠오르는데요. 하지만 보편적인 입맛을 맞추기가 쉽지 않습니다. 뒤늦게 요리를 배우기도 쉽지 않고요. 그런데 최근에는 오래된 식당의 다음 사장을 찾는 경우도 있다고요?

- 중장년층, 외식 창업 '인기'…새 트렌드는?
- 30년 이상 된 한 해장국집, 먹자골목 입지 좋은 상점
- 주인장 부부 70세 넘어가며 해당 가게 인수자 찾아
- 관심 상점 근무…노하우 직접 배우고 2대 사장 등극
- 6070 창업자, 운영 중 음식점 인수 받아 시설 개선
- 수십년 사업성 검증…그대로 인수받아 시행착오 강점
- 전국 전통시장 1430개 정도 운영…대표 상권으로 고려
- 일부 사장님 자녀 대물림…인수자 없으면 폐업되기도

Q. 젊은 층에서는 카페 창업도 많이 하는데요. 요즘 디저트에도 레트로 열풍이 불면서 할매니얼 말이 나온다고 합니다. 약과가 특히 인기고요. 떡과 같이 청년들이 관심 없을 것 같은 디저트들이 인기라는데...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창업하기에도 좋을 것 같아요?

- 2030 자녀와 공동 창업, 장점은?
- 최근 약과 등 옛날 주전부리 MZ세대들에 인기
- 곳곳서 '할매니얼' 트렌드…간식 사기 위해 대기도
- 부모-자녀 세대, '전통적 주전부리' 결합 카페도
- 인절미·한과 등에 아이스크림 콜라보 디저트 카페
- 카페뿐 아니라 인터넷 판매로 동시 매출 사례도
- 5060세대 제조업 집중…자녀 세대 마케팅에 방점

Q. 이 외에도 중장년층들에게 추천하는 창업 종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중장년층에게 적합한 창업 종목은?
- 동네 상권 대표적 안정 업종 중 하나로 정육점 관심
- 전국 정육점 수 3만3000개 수준…발골 기술 등 필요
- 10평 정도 1인 형태 동네 정육점, 간단한 창업 가능
- 틈새 상권 내 고시원, 여전히 영업 문제 없어 '관심'
- 고시원, 신규-인수 등 가능…신규 투자 5억 육박도
- 인수창업, 지은 지 3-4년 미만 고시원 인수하기도
- 월세·인건비·공과금 등 외 순이익 투자比 50% 내외

Q. 직장만 다니다가 뒤늦게 창업하기가 절대 쉽지 않을 텐데요. 마지막으로 중장년층 창업 시 주의사항은 무엇일까요?

- 5060 중장년층 창업 시 주의사항은?
- 자기 자본 투자로 반드시 객관적 다면 평가 필수
- 프랜차이즈 창업 시 정보공개서 내 순이익등 확인
- 기존 가맹점 운영 만족도 체크 후 브랜드 결정해야
- 단계별 창업 진행 필요…1년 정도 최소비용 운영
- 초보일수록 올인 창업시 실패 후 재기 어려울 수도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경화다른기사
육아휴직 급여 인상…"육아휴직 늘 것" vs. "의무화 아니면 실효성↓"
윤,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저출생, 범국가적 총력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