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이 기가 막혀…2%대 물가 '신기루'
SBS Biz 전서인
입력2023.08.02 17:45
수정2023.08.03 07:56

[앵커]
소비자 물가 오름세가 2년 만에 최저 수준, 2% 초반대까지 내려왔습니다.
정부는 물가가 하향 안정세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지만, 하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은 다릅니다.
폭우 이후 채소값 등이 크게 오르며 요새 마트에서 장보기는 더욱 겁이 납니다.
전서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 가격표를 이것저것 비교해 보고 몇 번을 들었다 놨다 하지만, 결국 빈손으로 돌아섭니다.
[정용순 / 서울시 개포동 : (상추) 2,000원이면 샀죠. 근데 5,000원이에요. 고기 먹으려면 상추, 깻잎은 필수잖아요. 너무 비싸요. 거의 200% 오른 것 같아요.]
정부가 직접 할인행사까지 주도하며 채소값 안정에 집중하고 있지만, 그래도 2~3배로 오른 가격에 소비자들은 채소 구매를 완전히 줄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채소류는 쏟아진 폭우의 영향으로, 출하지 피해가 컸던 상추, 시금치, 열무 등이 크게 치솟았습니다.
채소류뿐만 아니라 사과, 닭고기, 우유 등 식품 전체 오름세는 여전합니다.
그런데 태평스럽게도,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년 만에 최저치인 2.3%를 기록했습니다.
석유류가 25% 하락했고, 무엇보다 지난해 기저효과가 컸습니다.
식품이 자극한 소비자물가를 석유류가 가까스로 끌어내린 건데, 이렇게 되면 앞으로 지표와 체감 물가 사이의 괴리는 더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김정식 /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에 들어가는 항목들이 가중치가 낮아서 지표물가와 체감물가 사이에 괴리가 생기거든요. 홍수가 나서 농산물 가격이 비싸진다든지 생활물가가 많이 높아질 때 지표물가와 괴리가 더 커진다….]
오늘(2일) 물가점검회의를 연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률이 이번달부터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을 등락할 것이라며 국제유가와 기상여건 등을 최대 변수로 꼽았습니다.
SBS Biz 전서인입니다.
소비자 물가 오름세가 2년 만에 최저 수준, 2% 초반대까지 내려왔습니다.
정부는 물가가 하향 안정세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지만, 하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은 다릅니다.
폭우 이후 채소값 등이 크게 오르며 요새 마트에서 장보기는 더욱 겁이 납니다.
전서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 가격표를 이것저것 비교해 보고 몇 번을 들었다 놨다 하지만, 결국 빈손으로 돌아섭니다.
[정용순 / 서울시 개포동 : (상추) 2,000원이면 샀죠. 근데 5,000원이에요. 고기 먹으려면 상추, 깻잎은 필수잖아요. 너무 비싸요. 거의 200% 오른 것 같아요.]
정부가 직접 할인행사까지 주도하며 채소값 안정에 집중하고 있지만, 그래도 2~3배로 오른 가격에 소비자들은 채소 구매를 완전히 줄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채소류는 쏟아진 폭우의 영향으로, 출하지 피해가 컸던 상추, 시금치, 열무 등이 크게 치솟았습니다.
채소류뿐만 아니라 사과, 닭고기, 우유 등 식품 전체 오름세는 여전합니다.
그런데 태평스럽게도,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년 만에 최저치인 2.3%를 기록했습니다.
석유류가 25% 하락했고, 무엇보다 지난해 기저효과가 컸습니다.
식품이 자극한 소비자물가를 석유류가 가까스로 끌어내린 건데, 이렇게 되면 앞으로 지표와 체감 물가 사이의 괴리는 더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김정식 /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에 들어가는 항목들이 가중치가 낮아서 지표물가와 체감물가 사이에 괴리가 생기거든요. 홍수가 나서 농산물 가격이 비싸진다든지 생활물가가 많이 높아질 때 지표물가와 괴리가 더 커진다….]
오늘(2일) 물가점검회의를 연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률이 이번달부터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을 등락할 것이라며 국제유가와 기상여건 등을 최대 변수로 꼽았습니다.
SBS Biz 전서인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단독] 카드, 캐피탈도 SKT 인증 중단…은행은 하세월
- 3.SKT, 오늘부터 유심 무상교체…헛걸음 안하려면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단독] 유심 무료 교체 앞두고 번호 이동 보조금 뿌린 SKT
- 6.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7.SKT 유심 교체가 근본 대책?…"재발시 무용지물"
- 8."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9.우리 애도 위고비?…비만약 판 커진다
- 10.'월세 내고 남는 게 없어도, 월세'…이유 물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