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5대 은행 예대금리차 1% 아래로…신규는 농협·잔액은 국민은행이 최대

SBS Biz 이한승
입력2023.07.28 15:53
수정2023.07.28 17:21

[5대 시중은행의 로고(CI). (위에서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지난달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가운데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정책서민금융을 제외한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은행은 농협은행이었습니다.

잔액 기준으로 국민은행의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습니다.

오늘(28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 중 농협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정책서민금융을 제외한 가계 예대금리차가 1.19%p(포인트)로 가장 컸습니다. 가계 예대금리차는 가계 대출금리에서 저축성수신금리를 뺀 것입니다.

여기에 신한은행 0.98%p, 국민은행 0.87%p, 우리은행 0.84%p, 하나은행 0.76%p가 뒤를 이었습니다.

농협은행은 예대금리차 특수성 설명에서 "농협은행은 정부정책자금을 주로 취급하며 정부정책자금은 당행 수신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정부정책자금은 주로 1~3개월 초단기 정기예금으로 예치되고 있어 저축성 수신금리가 낮다"며 "이는 타행대비 예대금리차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주된 이유"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 중에서 신규 취급액 기준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곳은 토스뱅크로, 3.23%p를 기록했습니다.

케이뱅크가 1.64%p, 카카오뱅크 1.15%p였습니다.

지방은행과 외국계 은행을 포함한 19개 공시대상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5.32%p로 가장 컸고, IBK기업은행이 0.54%p로 가장 작았습니다.

19개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는 0.928%p로 전월(1.028%p)보다 0.1%p 축소되며, 예대금리차가 1%p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예대금리차가 0%대를 기록한 것은 공시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며, 5대 은행의 평균 예대금리차가 1%p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반년 만의 일입니다.

이번 달부터는 잔액기준 공시가 추가됐습니다.

잔액 기준으로 지난달 5대 은행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는 2.398%p였습니다. 잔액 기준에는 신규 취급액 기준 통계에서 제외하고 있는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이 수신에 포함되고, 대출에는 당좌대출 및 마이너스통장이 추가됩니다.

5대 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2.57%p로 가장 높았으며 농협은행 2.55%p, 신한은행 2.43%p, 우리은행 2.24%p, 하나은행 2.20%p였습니다.

이에 대해 국민은행 관계자는 "당행의 신규 및 잔액 기준 대출금리는 시중은행 가운데 높지 않은 수준이고, 신규 기준 저축성 예금 금리도 5대은행 평균을 상회한다"라며 "다만, 당행의 경우 타행 대비 개인고객수가 많은 영향으로 총수신 중 요구불예금 등 결제성예금 비중이 높아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인터넷은행 중에서는 토스뱅크가 5.35%p를 기록해 신규 취급도, 잔액 기준으로도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습니다. 이어 케이뱅크 3.53%p, 카카오뱅크 3.19%p였습니다.

공시 대상 19개 은행 중 잔액 기준 가계 예대금리차가 큰 곳은 토스뱅크였으며, 가장 작은 곳은 KDB산업은행(0.71%p)이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한승다른기사
"의협 "의사 수 충분" vs. 정부 "미래 의료 수요↑…전운 감도는 의료계
[직설] 직장인 지갑 털어 세수 메운다…근로소득세 비중 10년래 최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