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인구감소…내국인 5000만명 깨졌다
SBS Biz 신다미
입력2023.07.27 13:39
수정2023.07.27 14:46
지난해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계속되면서 국내 총인구가 1949년 센서스 집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첫 500만 명대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주도했고,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7일)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총인구는 5천169만 2천 명으로 전년(5천173만 8천 명)보다 4만 6천 명(0.1%) 감소했습니다.
인구 증가율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해왔지만, 2020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2021년 센서스 집계 이후 처음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
총인구 중 내국인은 전년보다 14만 8천 명(0.3%) 줄어든 4천994만 명을 기록하면서 2018년 이후 4년 만에 다시 4천만 명대로 내려앉았습니다.
외국인 인구는 전년보다 10만 2천 명(6.2%) 늘어난 175만 2천 명이었습니다. 코로나19 등 여파로 2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 과장은 "코로나19 등으로 고령층 사망자가 늘고 출생률이 하락하면서 총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전년에는 외국인 감소가 인구에 영향을 줬고 이번에는 내국인 감소 영향이 컸다"고 말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0∼14세 유소년 인구(586 만 명)는 전년보다 22만 8천 명(3.7%) 줄어들면서 센서스 집계 이래 처음으로 600만명대를 밑돌았습니다.
15∼64세 생산가능 인구(3천668만 명)도 전년보다 25만 8천 명(0.7%) 줄면서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914만 명)는 전년보다 44만 명(5.1%) 늘면서 빠른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이 같은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계속되면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전년보다 0.5포인트 하락한 16을 기록했습니다.
노년 부양비는 24.9로 1.4포인트 상승했고, 노령화 지수는 2017년(107.3) 대비 48.8포인트 상승한 156.1을 기록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 대신 '이거'라도 사자…순식간에 '싹쓸이'
- 2.사별 후 재혼하자 유족연금 딱 끊겼다
- 3.무소유의 나라?…부탄, 비트코인으로 '돈방석'
- 4.'10억이면 복비만 500만원'…이러니 너도나도 당근 직거래
- 5.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드러눕는 청년 많다
- 6.묵혀둔 은수저 어디있지?…실버바도 품귀
- 7.바가지 싫어 '이곳' 안 간다…결국 특단의 대책 내놨지만
- 8.로또 1등 5장 ‘한 곳’서 나왔다…동일인이면 64억 대박
- 9.'월화수목일일일'…주 4일 출근제 시행 어디?
- 10."수습직원, You Are Fired!"…"30분 내로 美연방청사 밖으로 나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