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빚에 눌린 대한민국…'가계 빚' 상환부담·증가속도 세계 2위

SBS Biz 김성훈
입력2023.07.17 11:15
수정2023.07.17 13:05

[앵커]

우리 경제의 가장 대표적인 뇌관이라고 한다면 1천800조 원을 넘긴 가계부채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코로나가 엔데믹을 맞으면서 지난해 본격적인 긴축이 시작된 가운데, 우려를 모았던 가계부채 부담이 현실화되는 모습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빚 부담 수준, 그리고 그 증가 속도까지 세계 주요국 중 최상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성훈 기자, 국내 가계빚 부담 상황, 수치로는 얼마였습니까?

[기자]

국제결제은행, BI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부문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은 13.6%로 나타났습니다.

조사대상인 17개국 가운데, 호주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데요.

DSR은 소득 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이 높으면 소득에 비해 빚 상환 부담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가 13.3%로 우리나라의 뒤를 이었고, 미국은 7.6%, 일본은 7.5%를 보였습니다.

우리나라는 빚 상환 부담 수준뿐 아니라 증가 속도 역시 두 번째로 빨랐습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DSR은 재작년과 비교하면, 0.8%p 뛰었는데요.

이 역시 같은 기간 1.2%p 증가한 호주 다음으로 상승 폭이 컸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사태 기간으로 넓혀 2019년 말과 비교해보면, 1.4%p나 상승해 조사 대상국 가운데, 상승폭이 가장 컸습니다.

[앵커]

이렇게 부담이 급증한 배경은 뭔가요?

[기자]

대출 이자가 크게 뛰었기 때문입니다.

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2021년 연 3.01%에서 지난해 연 4.66%로 껑충 뛰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에 최근 규제 완화 등으로 가계부채 수요도 늘고 있다는 점인데요.

올 들어 3월까지 감소세를 보였던 은행 가계대출은 4월부터 석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

특히 6월 가계대출 증가폭은 2021년 9월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컸고, 이에 가계대출 잔액도 사상 최대를 나타냈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리나 거시건전성 규제 등을 통해 가계부채에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BS Biz 김성훈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성훈다른기사
하나은행도 비대면 대출 한시 중단
연체율 관리 '비상' 신협, 부실정리에 1900억 추가 실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