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中 화웨이 '자력갱생'…美 기술 없는 자체 스마트폰 만든다

SBS Biz 임선우
입력2023.07.14 04:30
수정2023.07.14 07:43


중국 화웨이가 자체 반도체 설계 기술을 활용해 5G 스마트폰을 생산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로이터통신은 13일(현지시간) 복수의 중국 스마트폰 리서치 기업을 인용해 화웨이가 이른바 '자력갱생' 전략을 택했다며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건 지난 2019년 5월부터입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5G용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습니다.

또 네덜란드 정부에 요청해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최첨단 극장외선(EUV) 노광장비의 중국 수출을 차단했습니다.

이에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미국의 애플과 한국 삼성전자와 경쟁에 나섰던 화웨이는 순식간에 하락세를 탔습니다.

5G용 반도체를 제조하거나 공급받을 수 없게 된 데다가 미국 제재로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OS)에도 접근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화웨이는 2020년 2분기 5천58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해 세계 출하량 1위에 올랐으나, 미국의 제재로 같은 해 4분기 출하량은 세계 6위인 3천300만대로 급감했습니다. 화웨이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이후로도 더 떨어져 지금은 순위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화웨이는 '애국 마케팅'으로 중국 시장에서 그나마 버티고 있지만, 최근 미국이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디리스킹 압박을 키우고 있어 이같은 내수 전략도 고비를 맞게 될 것으로 보이자 '자력갱생' 전략을 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반도체 수율(정상적인 제품의 비율)입니다.

로이터는 화웨이의 5G용 칩 예상 수율이 50% 미만일 경우 출하량은 200만∼400만개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화웨이가 2019년 2억4천60만대의 스마트폰을 생산했던 점을 상기하면 턱없이 적은 수준입니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미국은 한국·일본·대만과의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를 통한 공급망 재편에 나섰습니다.

미국은 첨단 무기 등의 제조로 이어질 수 있는 중국의 첨단 반도체 제조는 물론 기술 습득을 싹부터 자르겠다는 심산으로 디리스킹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임선우다른기사
엔비디아 호실적 나왔는데 주가는 왜?…블랙웰에 달린 미래
[글로벌 비즈] '위기의' 폭스바겐, 파업 초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