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78조원 풀어 경기부양...2주택 규제도 완화
SBS Biz 윤지혜
입력2023.06.16 05:56
수정2023.06.16 14:02
[앵커]
기자가 콕 짚어 전하는 뉴스, 뉴스픽입니다.
중국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리오프닝에도 예상보다 내수가 부진하자 금리인하에 이어 대대적인 부양책을 내놓을 예정인데요.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 지 윤지혜 기자와 얘기해보겠습니다.
중국 정부가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 새로운 부양책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다고요?
[기자]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부동산 부양 등 최소 12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중국 국무원은 이르면 오늘(16일) 부양 패키지를 논의할 것으로 전해집니다.
또 현지시간 1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부양 규모과 분야를 상세히 보도했는데요.
중국정부가 1조위안(약 178조8천억원) 규모의 특별 국채를 발행해 신규 인프라 건설과 경제 성장을 끌어올리기 위한 목적의 다른 사업들에 사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이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부동산 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규모가 작은 도시들에 한해 다주택자들의 투자 제한을 폐기하는 계획도 검토중이라고합니다.
중국의 다수 도시는 투기 억제를 위해 1채를 초과하는 부동산 매수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또 내놓는 이유는 지난해 말 실시된 리오프닝에도 좀처럼 경기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중국 경제가 부진하면 이미 악화된 세계 경제에 더 부담이 되고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해 대만, 베트남 같은 수출 지향적인 나라들은 타격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사실 올해 우리 경제 회복을 좌우할 최대 변수는 바로 중국 경기라고 볼수 있잖아요?
[기자]
최근 미중 패권전쟁으로 국내 기업의 탈중국 움직임도 곳곳에서 나오고있지만, 여전히 중국 의존도가 큰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발전·철강 등 국내 중후장대 기업은 중국 시장 공략의 고삐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기업간거래(B2B) 기업 특성상 트렌드에 민감하지 않은데다, 중국 시장 규모가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중국 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강화한다면 중국 현지에 나가있는 대기업들도 공장 건설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LS 등은 중국 내수용 전력기기를 생산 중이며 포스코, 두산 등은 중국 전기차 생산의 필수소재, 연료전지 등 미래산업에 대한 시장 공략을 추진 중입니다.
[앵커]
전세계적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중국이 금리인하를 한 것도 경기부양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것이잖아요?
[기자]
인민은행은 15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전월보다 0.1%포인트 낮은 2.65%로 변경했다고 공고했습니다.
이는 최근 중국의 경제 지표가 부정적으로 나왔기 때문인데요.
지난달 소매판매와 제조업황을 나타내는 산업생산은 각각 12.7%, 3.5% 증가했는데 전달에 오른 실적을 모두 밑돌았습니다.
지속적인 부동산 침체와 역대급으로 높은 청년 실업률 등 수많은 경제적 과제와 씨름중인데요.
더 적극적인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부채를 늘려 성장을 쥐어짜는 방식의 효과가 예상보다 미미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앵커]
지금까지 뉴스픽이었습니다.
기자가 콕 짚어 전하는 뉴스, 뉴스픽입니다.
중국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리오프닝에도 예상보다 내수가 부진하자 금리인하에 이어 대대적인 부양책을 내놓을 예정인데요.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 지 윤지혜 기자와 얘기해보겠습니다.
중국 정부가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 새로운 부양책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다고요?
[기자]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부동산 부양 등 최소 12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중국 국무원은 이르면 오늘(16일) 부양 패키지를 논의할 것으로 전해집니다.
또 현지시간 1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부양 규모과 분야를 상세히 보도했는데요.
중국정부가 1조위안(약 178조8천억원) 규모의 특별 국채를 발행해 신규 인프라 건설과 경제 성장을 끌어올리기 위한 목적의 다른 사업들에 사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이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부동산 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규모가 작은 도시들에 한해 다주택자들의 투자 제한을 폐기하는 계획도 검토중이라고합니다.
중국의 다수 도시는 투기 억제를 위해 1채를 초과하는 부동산 매수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또 내놓는 이유는 지난해 말 실시된 리오프닝에도 좀처럼 경기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중국 경제가 부진하면 이미 악화된 세계 경제에 더 부담이 되고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해 대만, 베트남 같은 수출 지향적인 나라들은 타격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사실 올해 우리 경제 회복을 좌우할 최대 변수는 바로 중국 경기라고 볼수 있잖아요?
[기자]
최근 미중 패권전쟁으로 국내 기업의 탈중국 움직임도 곳곳에서 나오고있지만, 여전히 중국 의존도가 큰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발전·철강 등 국내 중후장대 기업은 중국 시장 공략의 고삐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기업간거래(B2B) 기업 특성상 트렌드에 민감하지 않은데다, 중국 시장 규모가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중국 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강화한다면 중국 현지에 나가있는 대기업들도 공장 건설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LS 등은 중국 내수용 전력기기를 생산 중이며 포스코, 두산 등은 중국 전기차 생산의 필수소재, 연료전지 등 미래산업에 대한 시장 공략을 추진 중입니다.
[앵커]
전세계적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중국이 금리인하를 한 것도 경기부양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것이잖아요?
[기자]
인민은행은 15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전월보다 0.1%포인트 낮은 2.65%로 변경했다고 공고했습니다.
이는 최근 중국의 경제 지표가 부정적으로 나왔기 때문인데요.
지난달 소매판매와 제조업황을 나타내는 산업생산은 각각 12.7%, 3.5% 증가했는데 전달에 오른 실적을 모두 밑돌았습니다.
지속적인 부동산 침체와 역대급으로 높은 청년 실업률 등 수많은 경제적 과제와 씨름중인데요.
더 적극적인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부채를 늘려 성장을 쥐어짜는 방식의 효과가 예상보다 미미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앵커]
지금까지 뉴스픽이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3."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4.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5.'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6.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7.'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8.'76·86·96년생은 깎아준다 왜?'...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시끌
- 9.'돌반지 지금 팔지 마세요'…금값 더 오른다 얼마?
- 10.국민연금 '내는 돈' 13%로 올린다…'소득대체율' 진통